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망시간 예측은 시신의 특징만으로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다. 또한 측정 지점에 따라 곤충의 종류가 달라 다른 지역의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생물체의 사체에 몰려드는 곤충, 특히 파리류의 성체와 유충을 분석하여 사망시간을 측정하고자 했다. 그래서 전라남도 나주시 오강리에서 사후에 시간에 따라 사체에 몰려드는 곤충 특히 파리류의 성체 종류와 알에서 부화한 후 유충의 발생으로 사망시간을 계산하고자 했다. 돼지 생간을 2018년 9월 5일 평균 최고 온도 21℃, 평균 최저 온도 15℃인 체육관 뒤 공터에 방치했다. 약 10시간 후 근처에 검정파리(Calliphora vomitoria), 금파리(Lucilia caesar Linnaeus), 초파리(Drosophila), 파리매(Promachus yesonicus)가 모여들었으며, 약 30시간 후 검정파리(Calliphora vomitoria)로 예상되는 알이 놓인 것을 확인하였다. 알이 부화된 후 정기적으로 유충을 채집하여 기문의 개수로 1령, 2령, 3령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사후시간에 따른 유충의 성장정보를 수집하였다. 정보를 바탕으로 재실험을 진행하여 하루마다 유충의 상태로 간이 놓인 시간을 측정하였다. 오차는 1~1.5일 정도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충이 부화한 후 시기에 따라 모여드는 곤충의 종이 점차 달라져 추측한 시간의 근거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uncommon to fumigate the live plants in quarantine. Ethyl formate (EF) fumigation was carried out in a 0.275 m3 chamber in laboratory for 12 h (over-night) to evaluate the mortality of 4 insect pests and to evaluate the phyto-toxic effect on their host plants. The tested doses were 1, 1.5 and 2 mg/L EF with or without nitrogen gas (N2). The phytotoxicity was evaluated 7 days post-fumigation based on the damage index (DI) scaling 0-4. Mortality >80% were recorded against thrips, whitefly and aphid in all the EF or EF + N2 treatments. Two-spotted spider mite was highly tolerant (<20% mortality at the highest dose tested) to EF. Except for perilla and sesame (DI = 4), EF was non-toxic to other vegetable crops at 1.5 mg/L EF. However, 1.5 mg/L EF+N2 increased DI by 3 for tomato, watermelon and green pumpkin. This new method fumigating live plants certainly demands lots of further experiments to ensure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farm level. (Supported by PJ0133562018, RDA)
        3.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dan (Cartap)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 방제효과 및 이들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시험, 폿트시험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벼멸구에 대한 Padan의 치는 암컷은 (24시간)(48시간)/충이었고, 수컷은 (24시간) (48시간)충/ 이었다. 2.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치는 온도수준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에서는 /충, 에서는 /충, 에서는 /충 이었다. 3.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치(ppm)는 칩엽처리에서는 낮았다. 즉, 침근처리에서 살충효과가 훨씬 높았다. 4.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감로배치량은 로서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 에 비하며 낮았으나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와 비등하였다. 5.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성충에 대해서는 낮았고 약충에 대해서는 높았다. 6. 폿트시험에 있어서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Broadcasting와 Top-dressing 처리간에 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7. 폿트시험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는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높았다. 8.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차세대의 밀도는 총 513마리로서 무처리구 550마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Furadan 처리구의 3.0마리에 비하여는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Diazinon 처리에서 370.7 마리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9. 수원지방에 있어서 Padan 4 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인데 비하여 Diazinon , Furadan 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벼멸구 방제효과가 높았는데 그 현상은 Diazinon, Furadan 처리에서 더욱 뚜렷하다. 10. 해남지방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인데 비하여 Diazinon처리구 . Furadan 처리구 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수원의 방제효과에 비하면 좀 낮은 편이었다. 담수조건과 배수조건에 따른 방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Diazinon과 Furadan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1. 포장시험결과 Padan 4G는 4kg/10a 수준에서 벼멸구 방제효과 발현은 충분하였다. 12. 폿트시험과 포장시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금후에 연구검토가 요망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