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 3-6세의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111명과 일반아동 135명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에 관한 문항, 그리고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에 관한 문항으로 총 95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내외적 요인은 기술통계, 그룹 별 감각처리능력은 독립표본 t-검정, 그리고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결과 : 발달장애아동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평균 점수는 135.37±21.17점이었고, 일반아동에서 평균 점수는 165.02±16.69점으로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 기질의 정서성과 또래관계이었다. 일반아동은 아동의 출생 시 몸무게와 기질의 정서성이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4,600원
        3.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oss-cultural adaptation is a social behavior that occurs when individuals enter a foreign cultural environment. Cross-cultural adapters learn the moral norms, language customs, and other aspects of the host culture, gradually adapting to and accepting it. They integrate their inherent beliefs,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al patterns with the host culture, forming a diverse multicultural background. Since humans have engaged in cross-geographical interactions, cross-cultural adaptation has existed worldwid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global economic integration, the world has become a global village. Nowadays, more and more people travel far from their hometowns to study, work, and engage in activities in foreign countries. Cross-cultural encounters bring novelty, mystery, and a sense of pressure, as living in a different culture means making specific changes in lifestyle and thought patterns. This change can be stressful, and not everyone can overcome it to adapt to life in a foreign country successfully. Therefore, cross-cultural adaptation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areas in today’s cross-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proposes relevant strategies to improve their cross-cultural adaptation.
        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기선해운영업을 중심으로 해운산업에서의 전자상거래 활용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한 후, 도출된 영향요인들과 전자상거래 활용수준 및 성과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해운기업들의 내부환경변수인 해운기업특성과 외부환경변수인 해운환경특성이 전자상거래 활용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우리나라 해운기업들의 전자상거래 활용수준이 전자상거래 활용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2단계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