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 초 제도 문헌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의 규범 구조와 제도 원리를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와 환경·사회·거버넌스(ESG)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육전(六典) — 치전(治典), 부전(賦典), 예전 (禮典), 정전(政典), 헌전(憲典), 공전(工典) — 을 중심으로 각 전의 제도 설계 원리를 17개 SDG 목표와 ESG 영역에 비교·매핑하였다. 분석 결과, 치전은 공정한 인사제도와 관료 운영, 재정 관리, 부전은 재해 대응·자원 관리·농업 진흥으로, 예전은 질서·교육·자연 존중으로, 정전은 군사 정의·복지·병농일 치·생태 보전으로, 헌전은 도덕적 법치·약자 보호·법 교육으로, 공전은 절제·자원 효율성·장인 존 중·공공 인프라 관리로 각각 SDGs와 ESG에 관해 대응되는 요소들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고전에도 SDGs·ESG 가치 체계와 구조적으로 상응하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