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국․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으로, 가장 필요한 사항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불필요한 사항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나타났다.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교직전문성 인식의 상·중·하 모든 집단 교사가 ‘수업실행’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교사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는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하며, 전문성과 자질 이 우수한 교사는 학습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는 현장 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원능력개 발평가의 전면 실시에 앞서 유치원 교육의 신뢰와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9명을 실험집단(20명)과 통제잡단(19명)으로 하여 12주간 12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을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따라 활동을 이행한 뒤 사전-사후 검사에서의 증가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은 유아의 공간능력 하위요소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교육청 관내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원감, 교사 461명으로 전문성 발달은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는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전체요구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하위영역인 교육 및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연구능력에서 차이가 있다.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경력을 통제 한 후 살펴본 결과 보통의 정적 상관이 있으며, 연구능력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 유치원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의 양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수도권 지역 공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직 경력 1년 6개월 이내의 임의 선정된 초임교사 10명은 각각 초임교사로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쓰기를 하였다. 이야기 쓰기 이후에는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면담 준거를 통해 3차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다. 면담 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녹음되었으며, 면담 과정중이나 면담이 끝난 후에 면담 대상 교사에게서 받은 인상이나 느낌은 간략하게 기록으로 남겨졌다. 이야기 쓰기와 교사 면담 및 현장 약기 이외에 초임교사의 어려움을 나타내 줄 수 있는 교사 개인의 일지, 일일 교육 계획안의 교사 평가가 기타 자료로 수집되어 연구 대상 교사에 대한 정보를 보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합, 코드화, 분류,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유치원 교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수업 준비 시간의 부족, 학급 운영 기술, 이론을 실제 수업에 접목시켜 전개하기,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료교사나 장학 담당자, 학교 구성원과의 관계나 학교 문화에 적응하기, 교사로서의 심리적 부담감은 초임교사들이 처한 근무 환경이나 교사 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려움에 차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