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도권매립지에서는 황량하고 척박한 폐기물매립장을 세계 최대의 환경명소로 탄생시키기 위하여 매립이 완 료된 지역을 중심으로 나무심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 진 중에 있다. 그간 추진된 수목식재 현황을 바탕으로 방문객의 인식을 통해 생태경관 개선효과를 조사하여 수도권매립지의 독창적인 경관 조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추진되었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교목 239,203주, 묘목 2,125,408주, 관목 2,930,294주로 총 5,294,905주를 수 도권매립지에 식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년도별로는 사 업초기년도인 2002∼2003년과 2009∼2010년에 각각 2,028,451주(38%), 1,574,172주(30%)로 식재가 집중되 었다. 위치별 식재량은 제1매립장 1,943,713주(37%), 제 2매립장 1,659,743주(31%), 외곽경계지역 1,067,455주 (20%), 녹색바이오단지 623,994주(12%) 순이며, 수목의 성상별로는 관목 2,930,294주(55%), 묘목 2,125,408주 (40%), 교목 239,203주(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 재지반이 얕고 환경이 척박한 매립지임을 고려, 관목과 묘목이 주로 식재되었음을 보여준다. 수도권매립지 조경수림대(제 1,2매립장 사면, 차폐수림 대, 도로변, 구 시설지 등)에 식재된 수목을 2013년 기준 전수조사 한 결과 교목 302,481주(104종), 묘목 108,051주 (55종), 관목 143,447㎡(25종)으로 집계되었다. 성상별 주 요 수종으로 교목은 곰솔(21.4%), 상수리나무(11.4%), 이 팝나무(8.7%), 산벚나무(6.5%), 측백나무(6.5%) 순이며, 묘 목은 소나무(42.8%), 곰솔(15.6%), 왕벚나무(6.9%), 대왕 참나무(5.9%), 산벚나무(5.6%) 순, 관목은 개나리(37.9%), 철쭉(17.5%), 수수꽃다리(6.5%), 박태기나무(5.5%), 무궁 화(3.8%) 순으로 나타났다. 위치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제1매립장 사면에 식재된 교목은 곰솔, 산벚나무, 상수리 순, 관목은 개나리, 철쭉 순이며, 제2매립장 사면에 식재된 교목은 소나무, 곰솔, 상수리 순, 관목은 개나리, 땅비싸리 순이다. 차폐수림대에 식재된 교목은 느티나무, 곰솔, 산벚 나무 순, 관목은 철쭉, 수수꽃다리 순이며, 도로변에 식재된 교목은 소나무, 느티나무, 리기다소나무 순, 관목은 박태기, 무궁화 순이다. 이를 통해 그간 식재한 묘목이 교목으로 성장하였으며, 수도권매립지에 위치별로 다양한 수종의 수 목이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도권매립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2일부터 10월 12일까지 3주간 수도권매립지 환경개선 인식조사와 조경수림대 가치추정을 실시하였다. 방문객, 직원, 경력자 등을 대상으로 매립지 문답식 조사지에 의해 진행하였으며 일대일 면접조사와 인터넷(SNS) 설문을 병행하였다. 조사 결과 수도권매립지 주변 환경여건 중 경관생태, 쾌적도, 소 음은 양호하나 토양, 수질, 대기, 악취는 보통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최근에 방문할수록 매립지 환경이 양호한 것 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목 선호기능은 환경개선, 생태적합, 녹음제공, 유지관리용이, 관상기능 순이었으며, 선호수종은 소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참나무류, 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2002년부터 식재된 수목의 누적식재량과 설문조사로 나 타난 환경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누적식재량과 경 관생태는 식재량이 누적될수록 방문객의 인식이 심각(2.0) 에서 보통(3.5)으로 개선되어, 현재는 양호한 상태로 파악되 고 있다. 또한 식재량 누적에 따라 경관생태 인식이 단계적 으로 상승되고 있는데, 1단계 상승기인 2003년에서 2008년 은 누적식재량 200만~300만주 구간이며, 2단계 상승기인 2011년에서 2014년은 누적식재량 500만~530만주 구간으 로 파악되었다. 경관생태 인식이 개선되는 시기는 공사가 대대적인 식재사업을 추진한 시기인 2002년에서 2003년, 2009년에서 2010년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누적 식재량과 전반적인 쾌적도는 경관생태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식재량이 누적될수록 방문객 쾌적도 인식이 심각(1.5) 에서 보통(3.5)으로 상향되고 있으며, 현재 양호한 상태로 파악된다. 쾌적도도 식재량 누적에 방문객 쾌적도가 단계적 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차에 걸쳐 인식이 개선되었다. 매립지 수목 식재 필요성과 관련해 필요하다(81%), 필요 없다(9%)로 나타났으며, 식재가 필요한 지역으로 매립지 전체 외곽경계(36%), 외부 주거지 인근(24%), 각 매립장 외곽경계(17%), 각 매립장 토양윗층(11%), 기타(12%) 순 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매립지 조경수림대 가치추정을 위해 조건부가치 측정법(CVM)을 실시하였으며, 지불의사유도를 위해 이중 양분석택법(초기제시금액 : 1,000원, 2,000원, 3,000원)을 사용하였다. 응답한 236명의 설문조사 결과 매립지 조경수 림대의 주된 생태계서비스는 조절서비스(43%), 서식지서 비스(25%), 문화서비스(21%), 공급서비스(11%) 순으로 나 타났으며, 조경수림대 보전을 위한 가구당 지불의사는 평균 2,377원/월, 지불사유는 유산가치(41%), 존재가치(27%), 사용가치(20%), 선택가치(12%)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 가구수(1,011만)과 소득 200만원 이상 가구비중 (0.838)을 반영하여 산출한 결과 수도권매립지 조경수림대 의 가치는 연간 2,418억원으로 추산된다.
        2.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oullo7017, an elevated linear park, was created to redevelop obsolete road infrastructure as public space, which provides unique landscape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and suggest proper planting design for improving psychological benefits in Seoullo7017. Field survey and simulat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ser’s perception on the landscapes. Many users had negative feelings of the present landscapes in Seoullo7017, due to concrete pavement and simple planting design using big concrete pots. Landscape simulation experiment showed this perception could change depending on planting design. In especial, herb spec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andscape in a linear park and providing positive feelings such as refreshment, warmth and naturalness. This study suggested that planting design in a linear space needs to be focused rather on the planting style and species than the volume of greens.
        3.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in Geumsan. The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ree villages of Geumsan in 2018 and total 96 residents had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usually have interests in community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not demographic factors. It is interesting that active interaction among residents during the projects and satisfaction on process are important factor for overall project satisfaction. For successful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nd suppor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In addition, more variou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foster residents’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urvey of East Lake Park, South Lake Park and Tian Waicun in Tai'an by questionnaire survey, on-the-spot investig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paper analyzes the tendencies of visitors to the animal elements and animal landscape i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ree terms: primary attributes, the cognition of animal elements and animal elements landscape preferences. We have drawn several conclusions: the landscapes of animal elements are in urgent demand by the public ; The animal elements having lovely image, auspicious meaning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popular application types of animal elements landscapes ; The most favorite types of animals and animal elements are: doves, cranes monkeys, pandas, butterflies, dragonflies, fold fish, dolphins, dragons and cartoon animals ; The popular landscaping techniques of animal elements are the methods of combining with plants, buildings and garden ornaments.
        5.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람들의 간섭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도시 경관의 지속가능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애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경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그 경관의 어떠한 특질에 호의적인가와 그 특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근래들어 급증하고 있는 이전 산업화 부지를 공원화한 오픈스페이스들은 전통적인 미학적 기준으로 판단하기에는 많이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새로 등장하고 있는 도시경관에서 심미성과 자연성이라는 대표적인 두 가지 경관의 미학적 특질 간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고, 이 두 가지 특질이 경관의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사람들이 이러한 경관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의 선유도공원과 하늘공원이 선정되었으며, 200명의 사람들에게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등이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심미성과 자연성 사이에는 일관적인 강한 양적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적합성과 중요성 사이에는 강한 양적선형관계가 보였다. 셋째, 응답자는 전체 경관의 중요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자연성보다 심미성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로 추론될 수 있는 사실은 경관, 특히 생태적인 경관을 설계함에 있어서 생태적 기능뿐만이 아니라 그 경관의 외형적인 매력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6.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pulation hasincreases in urban increase geometrically, and then many problemsoccur in society anomity, environmental pollution, exhaustion of recourses, So we have to consider the quality of our life. Eco-village is the alternative the village's principle to consider the human life. Eco-village refers to the application to ecological principles to the development of human ecosystem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ility. Since a few yearsm, in Korea, ecovillages have built for alternative society and developed local society. The expert and residents live ecovillages just consider the physical system or the social system. However, Ecovilliges must have not only unique physical, social aspects, but also the scenic aspects, especially, in the villages for eco-tourism. The paper examines what images are recognized by the people as ecovillages, and what difference betweenr they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aning each image or not. Through the result, this paper explores the important and necessity of the scenic landscape plan in ecovillages.
        8.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ndscape of rural settlement incurred the loss and worsening of its main feature in the modernization which was progressed by the inner and outer cause - the growth of urbanization and improvement of living and dwell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land-use in rural and analyzes relations between visual quantities by land-use and a pre(essence of landscape. And it is suggested the basic data of a planning and a management in rural by making clea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landscape preference elements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landscape elements that is based on the rural land-use is classified harmony, variety, variables and particulate. And it is classified the object of landscape by recognizing images of landscape produce space, natural environment, settlement place and cultivated land of a special products. In the analysis of landscape preference, it appears that the harmony has a great influence on a suburban, a rural, a mountainous district, and a hamlet in psychology elements and the volume of forest area in visual elements. As a result, it requests rural scenes in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So, the landscape planning which has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identity as the rural settlement can be represented by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egional fe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