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입술은 각질층이 매우 얇아 수분증발에 취약하며, 노화 과정에서 주름이 증가하고, 붉은색을 잃으며, 볼륨이 감소하게 된다. 매력적인 입술을 가지기 위해 시행되는 지방이식, 필러 주입을 대체하기 위한 성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거의 없으며, 최근 새로운 지방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인체 내 지방을 늘릴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우리는 선행연구에서 지방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천연 물질로써 요엽후박나무 추출물(Magnolia officinalis bark extract)의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이 바이오 프린팅으로 제작한 지방 유사 구조체에서 지방(lipid droplet)의 양을 증가시 키면서 분화를 촉진시킴을 3D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입술 주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주름 사진으로 부터 명암값의 표준편차(SDGV)를 J 이미지 소프트 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객관적 측정 방법을 확립하였고, 주름 정도에 따른 입술 주름 그레이드를 도출하여 정량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요엽후 박나무 추출물 1%를 함유한 제품을 12주간 사용했을 때, 입술 주름을 유의하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본 연구 결과는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이 지방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효능을 가지며, 이러한 효능이 입술 주름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따라서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은 입술 주름과 볼륨을 개선하는 화장품 후보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magnolia bark has been focused on owing to its worldwide usage for various clinical disorders. Despite its extensive use, only a few studies regarding the underlying mechanism of possible interactions of magnolia plant's components with medicine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incubation experiments with pooled human liver microsome (HLM)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honokiol, a major ingredient of Magnolia officinalis, on human cytochrome P450 (CYP) isoenzymes. Methods and Results : CYP isoenzyme specific substrate was incubated with multiple concentrations of inhibitor, human liver microsome and cofactors. Honokiol demonstrat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CYP1A2, CYP2C9, CYP2C19 and CYP2D6 with IC50 values of 3.73, 4.91, 3.71 and 20.27 μM respectively. For the estimation of inhibition constant (Ki) value and mode of inhibition, incubation studie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CYP isoenzyme specific probe were performed. Honokiol inhibited CYP1A2, CYP2C9 and CYP2C19 with a competitive mode, indicating Ki values of 1.62, 4.73 and 2.19 μ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inhibition of CYP2D6 by Honokiol was explained by a uncompetitive inhibition mode with Ki value of 14.34 μM.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nokiol could have inhibitory effects on metabolic activity mediated by CYP1A2, CYP2C9, CYP2C19 and CYP2D6 in humans.
        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후박추출물은 중국 원산인 당후박에서 제조되며,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로 알려져 있다. 후박의 성분으로는 폴레페놀인 honokiol 및 magnolol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후박추출물이 triglyceride (TG)의 축척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한다는 표면적인 결과를 얻었다. 또한, 후박 추출물이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단백질 수준을 증가시키고 adipocyte에 specific한 transcription factors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γ의 단백질과 mRNA 수준을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후박추출물이 항비만제로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와 그들의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