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physical therapy, yet limited research has assessed student competencies using validated tools.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competencies by gender, grade level, and admission type using a newly developed assessment tool. Design: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Method: A total of 88 students at U University completed the assessment, which comprised six Sub-Competenc ies (Communication skills, Client understanding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for Physical Therapy,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for Physical Therapy, Factor application capabilities,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NOVA with Scheffé post-hoc test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gender and grade levels (P>.05). By admission type, regular admission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ransfer students in the Learning Competency for Physical Therapy and the Factor application capabilities (P<.05). Conclusion: Competency development appears unaffected by gender or grade level but may differ by admission typ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cademic support and supplementary education for transfer students, and provide evidence to guid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in physical therapy.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고등교육 변화와 대학 평가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목표로 한다. 특히 대학 차원의 핵심역량과 학과별 전공역량 간 유기적 연계가 중요 한 과제로 부상함에 따라,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그 운영 실태와 구성원의 인식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연계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A대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CIPP 모형에 근거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52명의 응답 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증, 중요도-실행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5개 단과대학 10개 학과의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연계 유형을 비교 분석 하여 교원들의 인식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 났다. 다만,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을 내실화하기 위한 실행력이 부족하 다고 인식하였다. 현재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이 교수자 중심의 안정적 운영에는 강점이 있으나, 교육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수정·보완 사항을 환류하는 체계에는 취약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각 단과 대학의 학과(전공)에서 설정한 전공역량의 추상성·구체성 수준에서 기술 방식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간의 실제 연계 유형과 교원들이 자신의 전공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연계 유형 간 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학교 구성원 내에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을 어떤 방식으로 연계해야 하 는가에 대한 내부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인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전공의 차별성과 핵심역량의 정합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전공역량 설계, 명확한 역량 기술 가이드라인 제공,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역량 진단 및 환류 시스템 구축을 핵심 과제로 제언하였다.
Background: Since core competence-based training is in demand, this study aimed to revise suitable major competencies for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 University and use them to propose appropriate educational processes.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to modify the competencies established in 2020 for Physical Therap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validate them using the Delphi survey, and modify a curriculum that aligns with competencies. Design: Panel survey research. Method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at U University. To reform curricula based on major competence, related documents were analyzed, expert opinions were obtained, and expert panel group Delphi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The three major competencie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 University and 6 sub-competencies were defined by focus group interviews and review by th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Curriculum Committee. Additionally, the validity of the major competencies was established by the Delphi survey. Conclusions: Through step-by-step analysis, the current curriculum was revised into three major competencies and six sub-competencies, and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competencies was secured through a Delphi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