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vitro elimination of Sweet potato leaf curl virus (SPLCV) from infected sweet potato is difficult due to low number of virus-free plants obtained from meristem tip culture and long growth period required for the virus detection. In this study, efficient production of the SPLCV-free sweet potato by in vitro therapy coupled with a PCR assay for virus detection was investigated. Infected shoots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edium were treat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for 7 weeks followed by meristem tip culture on the medium with or without ribavirin at 50 mg/L. The regenerated plantlets were tested for virus infection by a PCR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oth heat- and cold-treatments, and addition of the ribaviri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efficiency of the virus elimination. The meristem size, however, greatly affected the survival rate. Meristems sized over 0.4 mm survived better than smaller ones (0.2-0.3 mm). The PCR assay was approved to be a rapid, sensitive and reliable for the SPLCV detection in regenerated plantlets. Therefore, combination of cultivating meristem tips sized 0.4-0.5 mm on the medium at 22℃ without ribavirin and detection of SPLCV in the regenerated plantlets by the PCR assay was an efficient system for the SPLCV elimination from infected sweet potato.
        2.
        198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의 생장점배양시 기본배지의 종류 및 기본배지에 첨가되는 2,4-D, NAA 및 Benzyladenine이 감자의 생장점으로부터의 기관의 분화 및 생장과 Callus의 유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져 본실험을 준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배지중에 Benzyladenine (BA)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자 생장점에서 유기된 경의 신장은 현저히 촉진되었으나 BA를 첨가함 배지상에서는 근 및 Callus는 전혀 유기되지 않았다. 2. NAA를 0.5ppm 이상 함유하고 있는 배지상에서는 경의 분화가 완전히 억제되었고 모두 Callus가 유기되었으며 NAA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Callus의 생장은 촉진되었다. 3. 2.4-D 1.0ppm 이하 함유하는 배지상에서 경의 분화가 완전히 억제되었고 Callus가 유기되었으며 Callus 생장율은 2.4-D 농도가 높을수록 많았는데 2,4-D보다는 NAA 첨가배지사에서 Callus의 생장율은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4. NAA만을 첨가한 배지상에서는 경의 분화 및 생장이 억제되었으나 BA와 NAA를 조합처리하였을 때는 NAA 0.01ppm에서보다 0.1ppm에서 경의 분화 및 생장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2,4-D와 BA의 조합처리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던 바 BA와 NAA 혹은 2,4-D의 조합처리시에는 경의 분화 및 신장이 촉진되는 방향으로의 교호작용이 현저하였다. 5. 엽편보다는 경편에서 Callus의 유기 및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이들 경엽조직편으로부터의 Callus 유기 및 생장에는 NAA보다는 2,4-D가 더욱 효과적이 었다. 6. MS 표준배지보다는 MS배지의 농도를 12 로 희석하여 배지중의 무기성분 농도를 저하시킨 배지상에서 거의 경의 분화 및 신장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7. 감자 생장점배양시 경의 유기 및 생장에는 MS 12 배지에 BA 1.0ppm 및 NAA 혹은 2,4-D 0.1ppm을 첨가한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