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D광산 주변 A지역을 대상으로 주요 오염물질인 비소, 납에 대하여 토양 내 존재형태 를 확인하고 광물상을 파악하여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광산 주변 A지역 토양의 비소의 농도는 70.73mg/kg, 납의 농도는 612.80mg/kg로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우려기준을 초과하 였다. 비소는 대부분 잔류 형태로 약 50% 존재하였고, 약 40%가 철-알루미늄 산화물 결정화 형태로 존재하였다. 납은 철-망간 산화물과 결합된 형태로 약 50% 존재하였고, 잔류 형태로는 약 20% 존재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XRD 결과, 비소가 포함되어 있는 라벤듈란(NaCaCu5(AsO4)4Cl·5H2O)과 납과 비 소가 포함되어 있는 기터마나이트(Pb3As2S6) 등이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의 비소 및 중금속 오염원은 광 물찌꺼기가 토양에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산화광물의 입자상으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 며, 특히 미립자에 오염물질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선별하여 농축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 거하여 정화대상의 양을 저감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o produce 4N grade high-purity silica powder from natural ore,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silica ore were investigated and their effects on the purification process were revealed. The Chinese silica mineral ore used was composed of iron and aluminum as main impurities and calcium, magnesium, potassium, sodium, and titanium as trace impurities; these trace impurities generally exist as either single oxides or complex oxides. It was confirmed that liberation and acidic washing of the impurities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particle size of the ground silica ore and on its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stribution and phases of existing impurities.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size reduction of silica ore should be realized for optimized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natural silica ore. A single step purification process, the mechano-chemical washing (MCW) process, was proposed and verifi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ulti step wash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