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ds for the moon phase in the inscriptions on bronze wares in the Zhou dynasty are open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the calculation of the moon phase dates clarifies the ambiguities of the bronze moon phase words. Calculation of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alendar solunar dates in two bronze ware inscriptions can be made, because the calendar solunar dates (gan-zhi 干支) were in a constant cycle of 60 days. Calculation of the date interval between the two moon phases on the same two bronze ware inscriptions also can be made , because the moon phase is also in cycles. The narrative tradition in the inscriptions of the Shang and Zhou dynasties includes a date series: the day in the solunar cycle, the month and the year of a king’s reign, and the day in the moon phase cycle. By comparing whether the two intervals meet or not, one can verify whether the bronze moon-phase idioms are meaningful, and it can also be confirmed whether the chronology of the kings of Zhou compiled by the previous scholars is resonable and create a new chronology through iterative calculation. The time intervals calculated in this paper chronicle every imperial event from the Zhou dynasty to the Shang dynasty, which rebuild a new chronology for the Xia, Shang, and Zhou dynasties. All modern attempts are hindered by a basic assumption, that the bone calendar of the Shang Dynasty is the same as the bronze calendar of the Zhou Dynasty, but i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bronze calendar of Zhou, when reading the Bronze Annals (this paper) alongside the Bone Annals (last paper) and as seen in Table 24. In addition, although the inscriptions related to the lunar phases are extremely difficult to understand, through computation, the records of three lunar eclipses on bronze vessels in the Zhou and Shang dynasties are newly recognized, which helps to reconstruct a new chronological list of the kings of Zhou.
        11,900원
        2.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 attempts to decipher the Shang bone scripts have been hampered by the fundamental assumption that the scripts are recordings of the sound of the language and not ideas. Some phonetic “translations” could be proposed without the possibility of verification, and some graphic “translations” without meanings are seen as the names of sacrificial rituals by previous scholars. Actually, a character is derived from a thought, and the thought is derived from a figuration, while the figuration itself is derived from the graphed object or event. Therefore, the same character can be used in different dialects or languages to depict the same concepts. Based on the bone scripts being ideograms, several bone scripts used frequently for the names of the day were assumed to be the moon phases; thus, the time interval between two corresponding days with its moon phase was calculated for verification. Extensionally,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two days, and the moon phase recorded on the bone tablets (or bronze wares) and the chronological table of the kings of Shang compiled by the pre vious scholars, the assumptions of the moon phase characters are attested by the calculations of the numbering days of the solunar date. Solunar dates (Chinese: Gan-Zhi 干支) were used to record dates with a cycle of 60 days. Conversely, on consideration of the dates and moon phases for the bone inscription events, the prevous chronology is improved with iterative methed, and we propose new chronology for Shang kings. In addition, through computation, three records of a lunar eclipse on the Shang bronze inscriptions and on the Zhou bronze vessels are newly recognized, which helps to reconstruct the years of the kings of Shang and of the kings of Zhou; the Shang bone calendar’s New Year started from the summer solstice of the year, from the full moon of the lunar phase and from the dawn of the day.
        13,7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가이어는 예이츠의 또 다른 중요한 상징 원 또는 대차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이츠의 대차륜은 달의 28개 월상(月像)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은 인간의 서로 다른 성품을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상록』에 나오는 기하학적인 상징체계인 달에 대하여 살펴보므로 예이츠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달의 28 국면을 예이츠의 상징체계에 영향을 준 것과 관련시켜 다루고자 한다.
        5,100원
        4.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위상 변화 원인에 관한 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학습자의 정신 모델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교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교과서 9종과 25명의 학생들을 조사하여 현직 교사를 포함한 9인의 과학교육 전문가들이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활동은 현상을 관측하고 공간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탐구활동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달의 공전, 태양광선의 평행과 달의 반사면, 태양-지구-달의 위치관계, 지구에서 보는 달의 위상에 대한 개념이었다. 이 개념들은 모델 설정 및 조작, 시공간 관계의 사용, 추론, 의사소통 기능과 연결되어 있지만 과학자들의 실제 탐구에 필요한 중요 기능이 생략되어 있었다. 한편 학생들의 정신 모델은 과학적 모델, 혼재형 모델, 대안적 모델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논의하였다. 지식 통합의 관점에서는 교수 설계 시 다양한 탐구 경로를 통해 학습자의 선개념과 새로운 개념의 연결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상의 결과는 개념 연결을 강화할 기회가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4,300원
        5.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교과서 모델과 중 고등학생이 표현하는 모델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보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도권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20명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36명을 무선 표집하고 구두 인터뷰를 통해 달의 위상 변화 모델을 그리도록 하였다. 현행 중 고등학교 교과서의 달의 위상 변화 단원에서 직접적으로 달의 위상 변화를 설명하는 모델은 대체로 한가지로 제시되어 있는 것에 비해, 학생들의 모델은 크게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모델을 분석한 결과 낮은 학년의 학생일수록 유년적 개념과 대안적 개념이 많이 포함된 모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달의 위상 변화 단원을 배운 후에도 이러한 대안적 모델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적 모델의 설명이 학생들의 선개념을 극복하기에 충분치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에서는 달의 위상 변화 모델이지고 있는 제한점에 대한 설명 없이 모델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런 부분이 학생들에게 대안적 개념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교과서 모델의 제한점을 보충하고 학생들의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보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