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biota research and analysis fo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of Shinchu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vascular plants in research area recorded of 45 species and insect fauna recorded of 34 species of 8 orders. As a result of table of community classification, the communities were two group; Quercus variabilis community(I),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Quercus dentata community(II). 2) As a result of analysis on correlation of tree species,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ercus dentata and Corylus heterophyll aindicated 1% and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Lespedeza bicolor also indicated 1%. 3) As a result of DBH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dentata will dominateover other species in competition and its succession continuously maintains from now on in community I. In community II,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hanging into community of Quercus such as Quercus mongolica, Quercus dentata, and Quercus variabilis. 4) As a result of analysis on insect fauna, insect fauna consists of 94% of whole species as 32 species, 23 families, 8 orders. And 7 species, 7 families 4 orders was found in highly urbanized area, the vicinity of Sang-Dong bridge. 5) As mentioned above, Based on A biota fundamental research,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were full of suggestions: i) Designating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i) Making Close-to-nature stream revetments, iii) Making pool-and-riffle, vi) Making decks for observation and walks for nature experience, v) Creating wetland biotope. Through these methods, it is necessary to promote bio-diversity and lead people to the space for eco-learning.
경기도 과천시와 서울의 서초구, 강남구를 흐르는 양재천은 1995년부터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이 시작된 대표적인 도시하천이다. 연구대상지인 강남구 관내 구간은 하천과 접하여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인근 주민들의 이용압이 높은 지역으로 본 연구는 하천복원에 의해 이용이 증가한 양재천의 이용현황 및 특성 등을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용자 설문조사에서 총 유효설문 303부를 회수하여 분석한 결과, 양재천은 근린주구의 주민들이 여유시간에 운동(51.8%)과 산책(24.4%)을 중심으로 한 이용이 많으며,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비율아 높고, 혼자(30.4%) 내지는 가족중심(28.4%)의 이용이 일반적이었다. 시설물을 확충할 경우에는 그늘이 있는 쉼터(80.8%)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설물로 파악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시설물의 추가도입은 필요 없는 것(78.8%)으로 분석되었다. 공원이용에 대해서는 종합적으로 만족(59.6%)하는 이용자가 많았으나, 안전문제(22.0%), 편의시설부족(17.6%), 그늘쉼터의 부족(16.6%)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행자와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 이용자가 함께 이용하고 있는 겸용노선에 사인표시와 이용매너 등을 홍보하고 기존 제방산책로는 녹음효과를 보완하여 보행전용화하며, 제방사면의 소단을 활용한 산책로의 신설을 통해 현재의 둔치산책로의 이용압력 분산을 유도하는 동선체계의 정비방안을 구상하였다. 하천 내부의 녹음공간 확보를 위한 녹음수 식재는 현재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수목식재기준에 의해 둔치 및 소단하부는 하천환경에 적합한 초본식물을 식재하며, 산책로 주변은 녹음제공이 가능한 습지성 자생 목본식물을 식 재하도록 하였다. 소단 내 수목식재에 있어서는 교목식재가 가능한 한 남측 사면은 20m 간격으로 교목 2열 교호식재를 하며, 소단상부는 각 구간별로 계절감을 연출할 수 있는 식물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urban stream and nature stream in Daegu-si, Gyeongju-si, Gyeongsan-si, Andong-si, and Cheongsong-gun.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2 points in total six points for urban stream, six points for nature stream from Sept. 2011 to July 2012. In the urban stream were 33 species belonged to 24 families, 11 orders, 7 classes and 4 phyla while in the nature stream were 73 species belonged to 38 families, 12 orders, 5 classes and 4 phyla. In general,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species richness indices appeared low in urban stream but dominance indices was high.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Habitat Oriented Groups appeared comparatively simple in urban stream rather than nature stream.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mmunity stability, species included to areaⅠand area Ⅲ equally appeared in nature stream while species included to area Ⅰ mostly appeared in urban stream.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number of species, the population number and biological indicators such as DI, H', RI, and ESB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vity with the diversity index and a very high correlativity with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index and the ESB. On the other hand, the population number and the dominance index did not reveal any correlativity. For indicator species, Hydroptila KUa, Physa acuta appeared in urban stream while Paraleptophlebia chocolata, Epeorus pellucidus appeared in nature stream.
최근 하천재해의 대부분이 지방하천과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반하여 소하천의 정비율이 지방하천에 비하여 월등히 낮고, 기존의 정비도 수해복구 위주로 진행되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소하천정비사업의 예방투자에 대한 연구 및 소하천 설계기준 개정 등에 관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소하천 정비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 정비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계획 및 설계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하천은 지역별로 지형, 수문, 수리적 특징이 매우 다양하므로 소하천의 피해사례, 성공적인 정비사례 등을 분석하여 소하천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적정한 정비방안을 수립하고,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설계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친수적인 기능을 가미한 경제적이고 홍수에 안전한 소하천을 계획하고자 한다.
자연형 하천조성 후 5년 이상 경과한 도시지역의 하천(안양천, 양재천, 오산천, 장수천, 학의천)을 대상으로 LAWA (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독일 연방 물관리 연구공동체)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위 자연형 하천 공법이 적용된 대상하천임에도 불구하고 하천의 물리적 구조적 생태성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하천의 종단면의 구조, 하안구조 및 하천변 토지이용도의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environment at urban streams in Korea, several river restoration projects have been initiated for past few years.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f diverting water application at the riverhead of Onchun stream through the monitoring program for several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parameters. Various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ecological item such as benthic macroinverterates has been investigated between 09/05 and 12/06.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diverting water from Nakdong river to Onchun stream distinctly improved sev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PH, BOD, TN, TP a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Low flow augmentation also improve ecological indicies such as the diversity index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Generally speaking, releasing addition water from head water of Onchun stream improves various wat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현재 하천정비는 하천생태계에 초점을 맞추고 자연하천에 근접할 수 있는 공법을 사용하는 자연 친화적인 하천정비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자연 친화적인 하천정비는 아직까지 많은 기술이 축적되지 않아 어떤 공법이 하천환경에 적합한 공법인지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값비싼 공법을 적용하여 하천을 자연 친화적으로 정비하였다. 하더라도 하천정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방법이 확립되어있지 않아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에 대한 타당성을 객관화하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