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배초향(Agastache rugosa Kuntze) 재배 시, 야파시간에 따른 생육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본엽 4매인 배초향 묘 를 백색 LEDs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야파 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06시부터 광도 200μmol·m-2·s-1 조건으로 시간을 24시간 주기에서 18:1:2:3, 18:2:2:2, 18:3:2:1 (명기:암기:명기:암기) 비율로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는 20:4 (명기:암기)로 설정하여 4주간 재배하였다. 엽장과 엽폭, 화아 수를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배초향 지 상부의 항산화물질 함량은 tilianin과 acacetin이 높았고, 지하 부에서는 rosmarinic acid(RA)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배초향의 건물중당 RA함량은 18:1:2:3과 18:2:2:2에서 대조 구보다 47.92, 51.46% 높았고, 건물중당 tilianin과 acactin은 18:3:2:1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야파처리를 하였을 때 동일한 누적 광량으로 인해 생육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8:2:2:2의 야파처리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 라서 인공광을 이용한 배초향 재배 시스템에서 야파처리를 통 하여 생육 저하 없이 배초향의 항산화 물질 증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Cymbidium ‘Red Fire’ grown under different nitrogen fertilization and night-interruption (NI) illumination, we exposed plants to 9-h short days (SDs), SDs + 3 - 7 μmol·m-2·s-1 NI (low-light intensity of NI, LNI), or SDs + 120 μmol·m-2·s-1 NI (high-light intensity of NI, HNI) illumination with nitrogen supplemented at 0, 100, 200, or 400 mg·L-1. Cymbidium photosynthesized under 3 – 7 μmol·m-2·s-1 NI regardless of nitrogen treatment, promoting growth. HNI treatments and nitrogen supplements at 100 mg·L-1 increased the leaf chlorophyll concentration. LNI increased net CO2 assimilation (An), transpiration, and stomatal conductance. HNI without supplemental nitrogen reduced midday An. However, HNI with supplemental nitrogen increased midday An. Supplemental nitrogen should be provided to Cymbidium when high-irradiance NI is used to promote growth.
        4,000원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owering responses under night interruption (NI) condition were determined in Doritaenopsis ‘Fuller’s Sunset ’, ‘Green Beer’, ‘Little Gem Stripes’, and ‘Queen Beer’ during their reproductive stages. Plants were grown under 10/14 h ambient light/dark (control), 10 h ambient light with night interruption (22 : 00-02 : 00 HR) at low light intensity of 3-7 μmol • m−2 • s−1 (LNI) and 10 h ambient light with NI at high light intensity of 120 μmol • m−2 • s−1 (HNI) conditions after flower spike emergence. Time to visible bud and flowering decreased more in the plants grown under HNI than those grown under LNI or control conditions. The number of buds or flowers increased in the plants grown under both LNI and HNI conditions compared to those grown under control condition for all cultivars. The tallest plants at flowering were in the HNI group in ‘Queen Beer’, ‘Green Beer’, and ‘Fuller’s Sunset’, however, the plant h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Little Gem Stripes’. NI with low light intensity or high light intensity can be used effectively to promote flower opening, but not with low light intensity at flower development stage. To obtain early flowering with high quality plants using NI treatment during their reproductive stage, high light intensity strategies could be suggested in Doritaenopsis cultivation.
        4,000원
        4.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잎의 주년생산을 위한 일장이 짧은 겨울동안 개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들깨품종 엽실들깨, 옥동들깨에 대한 광조도별 0.5∼1 Lux, 3∼10 Lux, 30∼100 Lux, 야간조명시간별 10, 30, 60분간 처리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실들깨는 옥동들깨보다 처리에 따라 정식후 개화소요일수는 1∼4일 정도 더 소요되었으며 광조도 0.5∼1Lux/야간조명시간 10분간 처리구 에서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으며 광조도 3∼10 Lux/야간조명시간 60분간 처리구와 광조도 30∼100Lux/야간조명시간 10, 30, 60분간 처리구 모두 개화가 되지 않았다. 2. 경장은 광조도 0.5∼1 Lux/야간조명시간 10분 처리구가 53∼56cm로 가장 작았고, 광조도 30∼100 Lux/야간조명시간 10분 처리구가 87∼91cm로 가장 컸다. 3.엽면적은 광조도 0.5∼1 Lux, 3∼10 Lux의 처리구에서는 야간조명시간이 길수록 광조도가 강할수록 엽면적은 증가되었으며 광조도 30∼100 Lux 처리구에서는 야간조명시간에 관계없이 엽면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건물량은 광조도 30∼100 Lux/야간조명시간 10, 30, 60분간 처리구에서 주당 25∼29g으로 가장 무거웠고, 광조도 0.5∼1 Lux/야간조명시간 10분간 처리구에서 주당 16g으로 가장 낮았다. 5. 따라서 일장이 짧은 겨울동안의 개화억제 정도는 광조도 30∼100 Lux/ 야간조명시간 10분 정도 처리하면 효과가 커 그 이상 광조도와 야간조명시간은 엽생산을 위해 필요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