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ranium (U), an essential source for nuclear energy production, poses serious environmental and radiological threat due to its high mobility and long half-life. Uranophane [Ca(UO2)2SiO3(OH)2·5H2O], a secondary U silicate mineral, is known as a solubility-limiting phase in U mining deposits and nuclear waste repositories (controlling U immobilization). However, research on uranophane dissolution, particularly under the influence of organic and inorganic ligands, remains lacking. This study investigates uranophane synthesis and its dissolution at pH 8 through batch experiments using organic ligands (citric acid (CA) and humic acid (HA) at 50–150 ppm) and inorganic ligands (carbonate, nitrate, chloride, and silicate at 10−4 M to 10−6 M). Obtained results suggested that CA and carbonate significantly enhanced U release, reaching 27.6 ppm. Mixed systems containing both organic (50–150 ppm CA) and inorganic (10−4 M carbonate) ligands revealed increased U release, however were less effective than single-ligand systems due to competitive interactions with carbonate dominating U speciation. Visual MINTEQ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uranyl complex species in the solutions. Dissolution rate and kinetic modeling were determined to predict U release trend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role of various ligand types in nature and their impact on U mobility, aiding remediation strategies for contaminated environments.
        6,400원
        2.
        2018.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d nanoparticles are extensively studied as promising non-Pt catalysts due to their electronic structure similar to Pt. In this study, to fabricate Pd nanoparticles well dispersed on carbon support materials, we propose a synthetic strategy using mixed organic ligands with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and functions. Simultaneously to control the Pd particle size and dispersion, a ligand mixture composed of oleylamine(OA) and trioctylphosphine(TOP) is utilized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of Pd precursors. In the ligand mixture, OA serves mainly as a reducing agent rather than a stabilizer since TOP, which has a bulky structure, more strongly interacts with the Pd metal surface as a stabilizer compared to OA. The specific roles of OA and TOP in the Pd nanoparticle synthesis are studied according to the mixture composition, and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ORR) activity and durability of highly-dispersed Pd nanocatalysts with different particles sizes a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Pd nanocatalyst with large particles has high durability compared to the nanocatalyst with small Pd nanoparticles during the accelerated degradation tests although they initially indicated similar ORR performance.
        4,000원
        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정질 실리카겔은 Si와 O로 이루어진 가장 간단한 화합물로서, 표면에 다양한 구조의 물과 수산기, 그리고 합성과정에서 형성된 유기 리간드(ligand)를 함유하고 있어, 지권, 수권, 그리고 생물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모델 시스템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17O NMR 분광분석을 통해 비정질 실리카겔의 Si-O-Si와 Si-OH 산소 원자환경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iCl4의 수화반응을 통해 17O이 집적된 비정질 실리카겔을 합성하였다. 1H과 29Si NMR 분광분석 결과, 비정질 실리카겔 표면에는 다양한 수소결합 세기를 가진 물과 수산기 이외에, Si-O·sR 형태의 유기 리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유기 리간드는 에탄올 또는 증류수를 이용해 비정질 실리카겔을 초음파 세척함으로써 상당부분 제거 가능하다. 17O NMR 분광분석 결과, 짧은 펄스 길이(0.175μs)를 이용한 17O NMR 스펙트럼에서 Si-O-Si와 Si-OH 산소원자 환경이 거의 구분되지 않고 나타나는 반면, 특정 실험조건(2μs 펄스길이)의 17O NMR 스펙트럼에서는 약 0 ppm에서 빠른 동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Si-OH로 추정되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 피크는 비정질 실리카겔 표면의 유기 리간드가 제거됨에 따라 더 뚜렷하게 관찰되며, 이는 유기 리간드와 비정질 실리카의 산소원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지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비정질 실리카겔 표면의 수산기의 원자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규산염 지구물질의 탈수반응 기작에 대한 이해를 고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지구물질의 탈수반응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섭입대의 중간깊이(약 70~300 km)에서 일어나는 지진의 미시적인 원인에 대한 실마리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