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성인봉의 토양 시료에서 발견한 육각사다리응애 (신칭, Punctoribates hexagonus Brelese, 1908)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지리적 분포 정보를 제시한다.
        4,000원
        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the soil samples collected at Seonginbong in Ulleung Island two unrecorded species of oribatid mite, Punctoribates hexagonus Berlese and Galumna cuneata Aoki were identified. Genus Punctoribates Berlese (1908) are rather small, dark brown, and ball-shaped as adults inhabiting mainly terrestrial ecosystem, but some species live in wet habitats and other mosses at the edge of lakes (Seniczak and Seniczak, 2008). The members of Galumnidae is one of the largest groups of oribatid mites with a world - wide distribution. They are ball-shaped, both the juvenile and adult stages. The sclerotized integument of adults are brown to black. Member of this family are fairly abundant in litter or upper layers of forest soils and commonly distributed in pasture soils of open habitats (Bayartogtokh and Weigmann, 2005).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random samples at 5cm depth consisting of one sample unit. The abundances of soil microarthropods collected from acari and collembola were consisted of 31% and 32%, respectively. We collected 11 species, 9 families of oribatid mite (Acari: Oribatida) from the research site.
        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훼손되지 않은 천연보호림인 점봉산의 고도 1,000미터 지점의 이웃한 남북사면의 서식처 환경차이에 따른 날개응애의 군집구조를 분석을 통한 생태계 구조를 이해함을 목적으로 1994년 5월부터 1996년 8월까지 매월 조사를 수행하였다. 두 조사지에서 채집, 동정한 날개응애의 종수및 개체수 비교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t-test, p〈0.05), 북사면의 평균 밀도와 종수는 99.2±17.6, 24.7±3.0이고 남사면에서는 234.2±62.6, 40.8±5.8였다. 종다양도는 남사면이 3.09±0.11로 북사면 2.71±0.13보다 높게 나타났다. 날개응애의 개체군 크기를 전체 밀도에 대한각종의 밀도 백분율로 구하여 우점종, 중세종 그리고 약세종으로 나누어 나타내었고, O. nova와 Suctobelbella naginata가 조사지 모두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Trichogalumna nipponica는 남사면에서는 우점종이었으나, 북사면에서는 채집이 되지 않는 종이다. 두 조사지의 우점종의 먹이 습성은 토양미생물을 섭식하는 식균성(microphytophagous) 이었다. 고도 1,000미터 지점으로 서로 이웃한 남/북사면 조사지에서 종수 및 개체수, 우점종 구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조사지별 유사도가 낮게 나타나 미소환경의 이질성이 날개응애 군집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