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4품종을 4월 25일부터 30일 간격으로 7월 25일까지 4차에 걸쳐서 파종하여 각 파종기에 따른 생태변이를 조사하였다.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1차분지수 착화방수, 생체중, 건물중, 발아요소일수 및 개화소요일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파종기와 이들 형질간에 높은 부의상관 및 개화소요일수와 소요적산온도 사이에는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온, 장일조건하에 조기파종하면 영양생장이 길어서 개화기까지 약 132일이 소요되고, 그 후 파종은 점차로 단축되어 불과 57일만에 개화를 볼 수 있다. 파종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즉 A형(논산종)과 B형(진천종)은 조기파 종할수록 수량이 많았고, C형(남양종과 울진종)은 5월 25일 파종구가 가장 많았다. 1000립종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들깨는 단일성작물로서 파종기 여하를 막론하고 9월상~중순까지 개화함으로 품종에 따라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고려하여 파종하여야 한다.
        2.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85점, 중국 길림성 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국내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 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중국 길림성 수집종은 모두 조생종이었다. 1,000립중은 국내 수집종에서는 평균 2.79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고, 대부분 중·소립종이었다. 입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중국 수집종은 평균 2.6g이었으며, 2.2~3.1g으로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립중이 다양하지 않았다. 종피색은 국내 수집종의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중국 수집종은 암갈색이 20%, 갈색이 80%이었다.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는 국내·중국 수집종 모두에서, 화방군 당 삭수와 화방군장은 국내 수집종에서, 1,000립중과 성숙기, 화방군수와 경장, 절수는 중국 수집종에서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 당 삭수와 1,000립중과는 국내 수집 종에서, 화방군장과 경장, 분지수, 절수, 화방군수와는 중국 수집종에서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3.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s on the variations of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90 Korean perilla collections. Average oil content of 90 perilla collections was 44.2% with a range from 29.7% to 61.9%. Perilla collections with late-maturing, super-large seed and gray seed coat showed higher oil content than other types in general. Averag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perilla oil was 9.0% with a range from 8.2% to 10.7%, while averag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varied from 89.3% to 91.8% with a mean of 91.0%. Conten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not related to matur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according to maturity.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super large-sized group(15.5%) and in the large-sized seed group(61.4%), respectively, while contents of fatty acids among the perilla collections were variable with different seed coat colors. Most of the traits studied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il content, but linoleic acid(Ω-6) cont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r=-0.217*) with linolenic acid(Ω-3)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