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점박이사슴벌레는 2012년 5월 31일부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보호받고 있는 딱정벌레 목의 사슴벌레과 톱사슴벌레속의 곤충으로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숲에서 자생하고 있다. 보통 검정색 사슴벌레 와는 달리 황갈색의 이국적인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가슴 양쪽에 2개의 검은색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아열대기후의 특정 서식지에서만 살아가는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산업곤충으로써 가치성과 희귀성을 고려하여 인공증식 사육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과정 중 점차적으로 온도를 낮춰가며 영상 8℃에서 90일간의 월동처리 하였고, 이러한 월동처리의 유무과정이 두점박이사슴벌레 유충기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비월동시 수컷 249일, 암컷 239일이었고, 성별간 수컷이 암컷보다 약 10일정도 더 길었으며, 암수 평균 유충기간은 245일이었다. 그리고 월동시에는 수컷 309일, 암컷 280일로 수컷이 약 30일정도 길었으며, 암수 평균 유충기간은 290일이었다. 월동처리 유무에 따른 두점박이사슴벌레 유충기간의 차이는 비월동 개체가 월동 개체보다 수컷은 약 60일, 암컷은 약 40일정도 짧았으며, 암수 평균 유충기간은 약 45일정도 짧았던 경향을 보였 다. 또한 유충의 생육특성 중 두폭은 처리간 서로 유사하였던 반면, 암수 무게는 월동 개체가 비월동 개체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우화의 경우 암컷이 비월동과 월동 개체에서 모두 수컷보다 빨랐던 경향을 보였다. 추후에는 월동 유무에 따른 성충 산란량과 사육 키트 개발을 위한 사육상자 크기 및 배지 높이별 성충 산란량, 온도 및 사육상 자 크기별 유충 생육 등의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인공 증식을 위한 산란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화 후 3개월이 지난 두점박이사슴 벌레 성충은 암수 비율이 1: 1 일 때 3주 이상의 교미 기간이 필요하다. 실험 처리온도 16, 20, 24, 28, 및 32°C 중에서 산란전기간은 16℃에서 우화 후 109일로 가장 길었으며, 32°C에서 우화 후 평균 59.4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수는 24°C에서 암컷 한마리당 평균 40.6개로 가장 많았다. 성충의 평균 수명은 16°C에서 수컷 208.8일, 암컷 263.9일로 가장 길었으며, 32°C에서 수컷 96.1일, 암컷 130.3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 용기 크기에 따른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산란수는 용기가 클수록 많았다. 사육 시 산란목 설치가 산란수와 산란기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멸종위기종 두점박이사슴벌레의 복원과 대량 증식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점박이사슴벌레(Prosopocoilus astacoides blanchardi)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에 속하는 종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며, 2012년 5월 31일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보호종으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두점박이사슴벌레가 번식 및 개체군이 유지되는 기주목 12그루를 대상으로 번식지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기주목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11그루, 떡갈나무(Q.dentata) 1그루로 분포 해발고도는 150m~355m이며, 기주목의 수고와 흉고는 각 4.5m~10m, 17cm~34cm였다. 특히, 기주목에는 두점박이사슴벌레가 은신할 수 있는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송악(Hedera rhombea),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밀나물(S. riparia), 칡(Pueraria lobata),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사위질빵(C. apiifolia), 며느리밑씻개(Polygonum senticosum), 줄사철나무(Euonymus fortunei), 남오미자(Kadsura japonica) 등의 덩굴성 식물이 기주목의 줄기를 잠식해 있었고, 잠식률은 5%~80%까지 다양했다. 하지만 덩굴성 식물의 줄기잠식률이 낮으면, 기주목에 갈라진 틈이 있거나 군락을 이루고 있어 은신처가 있었고, 단독으로 기주목이 있는 곳은 줄기잠식률이 40%~80% 매우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두점박이사슴벌레는 번식 및 개체군 유지를 위해 포식자를 피하고 먹이를 구하기 위해 덩굴성 식물이 줄기를 잠식하고 있는 참나무속(Quercus)의 기주목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