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독거노인의 심리적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2022 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9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그리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고독감은 삶의 만족도에 유 의미한 부(-)의 관계의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는 정(+)의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이루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둘째, 여성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경제적 상태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 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 In this study, dating in the elderlys’ life gave satisfaction: for elderly men, dating gave them self esteem, and in wom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a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ating in the elderly on their happin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se days, the elderly population rapidly increased to produce a social issue and studies of such in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re limited. The elderly has lost roles in the society because aged people give up human reason and love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expectations of them. Subjects in this study were related with investigating the elderly’s dating life, loneliness and happiness. Results - The date life of the elderly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Hypothesis was adopted and results showed the degree of elderly’s dating lif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230**) to account for 13.2% of psychological loneliness. Needs of dating elderly had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Conclusions - Psychological loneliness was mediated with dating in the elderly for opportunity and happiness. Hypothesis was that the dating had influence upon happiness. As a result, date opportunity, degree, needs and friendlines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