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 독거노인의 심리적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KCI 등재후보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3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여성 독거노인의 심리적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2022 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9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그리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고독감은 삶의 만족도에 유 의미한 부(-)의 관계의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는 정(+)의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이루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둘째, 여성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경제적 상태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 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00 people from July 1 to August 31, 2022, of which 290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 effect on the positive (+) direction. Seco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the influence of economic status, a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was confirmed. Based on thi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목차
1. Introduction
2. Study method
2. Study method
    2.1 연구대상
    2.2 연구절차
    2.3 측정도구
    2.4 자료분석
3. Results
    3.1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및 정규성 검증
    3.2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
    3.3 측정모형의 검증
    3.4 구조모형 검증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이종운(Professor, 29131 Dept. social welfare, U1 Univ., 310 Daehak-ro, Yeongdong-eup, Yeongdong-gun, Chungbuk, Korea) | Jong-Un Lee Corresponding author
  • 김연심(Ph.D. course 100-100 Dept. Social Welfare, Daegu Catholic Univ., 13-13, Hayang-ro, Hayang-eup, Gyeongsan-si, Gyeongsangbuk-do, Korea) | Youn-Sim Kim
  • 남정희(Ph.D. course 100-100 Dept,. Lifelong Education Convergence, Daegu Haany University, 1 Oriental Medical University, Gyeongsan-si, Gyeongsangbuk-do, Korea) | Jeong-Heek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