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nterest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fter the addition of cardiac rehabilitation as a benefit item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2017. However, few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characterized cardiac rehabilitation in Korea. Objects: To assess the national epidemiological data o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from 2017 to 2023. Methods: This study analyzed MM453, a prescription code for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base. The data reviewed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cases per year and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per 100,000 people, along with sex and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Results: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in Korea increased from 4,443 in 2017 to 15,646 in 2023 (252.1% increase in 7 years). The incidence per 100,000 person-years rose from 8.64 in 2017 to 30.22 in 2023. The number of 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3,183 (incidence: 12.35) in 2017 to 11,276 (incidence: 43.53) in 2023. The number of fe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1,260 (incidence: 4.91) in 2017 to 4,370 (incidence: 16.89) in 2023. The highest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therapy from 2017 to 2023 was observed in the 60s age group (patients: 4,747, incidence: 9.17), followed by the 70s, 50s, and > 80s age groups. Conclusion: From 2017 to 2023,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increased consistently. The therapy is approximately 2.6 times more common in males than that in females and is predominantly administered to individuals in their 60s, followed by those in their 70s, 50s, and 80s and above.
목적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중심으로 현행 장애아동 재활치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고,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을 포함한 장애아동 재활치료 기관의 종사자에게 4,000부의 설문을 배포 후 수거된 966부 중 작업치료사가 응답한 162부를 기술통계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에 응답한 작업치료사는 뇌병변 및 자폐성 장애를 주로 치료하였고, 일일 평균 7.1명, 주당 평균 4회, 일 회당 37분을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서비스 전문인력 공급 여부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높았고, 전문 인력의 확대방안으로는 치료사의 처우개선을 1순위로 꼽았다. 또한 재활치료 제공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이수과목 확대가 우선 필요하고, 재활치료 서비스 대상자 선정방법은 팀접근 방식이 적절하며, 향후 재활치료 전문 인력의 학력기준은 전문학사이상 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87.5%를 차지하였다. 재활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급한 국가정책은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이며, 공적지원체계는 보건복지부 관할로 일원화하자는 의견이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재활치료 분야 중 작업치료 서비스 실태와 재활치료 서비스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작업치료와 관련된 제도정비 및 전달체계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