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synthesis techniques and interesting multidisciplinary applications make carbon nanodots (CNDs) stand out from semiconductor quantum dots. Moreover, CNDs derived from green precursors have gained more importance beyond chemically derived CNDs due to sustainable synthesis opportunities. However, the presence of molecular impurities or intermediates or fluorophores was neglected during the entire process. Herein, we illustrate the sustainable synthesis of CNDs from Hemigraphis alternata plant leaves with extended carbonization procedure (3 and 9 min) along with simultaneous ethylene glycol and diethyl ether solvent treatment method for the successful removal of interfering fluorophores. To unravel the distinction between purified CNDs (P-CNDs) and organic fluorescent carbon nanostructures (org-FCNs), we carried out photophysical,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studies. A quantum yield (QY) of 69 and 42% was observed for crude org-FCNs, and crude P-CNDs; however after purification, QY of 1% and absence of one component from the fluorescent decays curve suggest the removal of fluorophores. Further, HR-TEM and DLS studies showed the quasi-spherical amorphous particles having < 10 nm particle size for P-CNDs. Besides, in vitro biocompatibility investigation and cellular uptake assay (1–100 μg/mL) against the MDA-MB 468 cell lines proves the ≥ 95% cell viability and good internalization for both org-FCNs and P-CNDs. Hence, our study shows the presence of fluorophore impurities in plant-derived CNDs, the removal and resemblance in biocompatibility properties. Hence, this information can be considered during the synthesis and isolation of CNDs. Simple and effective removal of impurities to harvest pure carbon nanodots (CNDs) through solvent-based selective separation method, and revelation of the cocktail flourphores similar to biocompatible blue fluorescent CNDs were studied.
        4,9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성경의 일부 혹은 전부가 문학적 해석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는 관점에서 로마서에 기록된 사도바울의 자기 고백을 수사학적인 도구로 본다. 로마서 해석의 역사에서 바울의 개인적 고백이 담긴 7장 7-25절은 율법을 논하는 다른 부분의 내용과 문체적 차이를 보인다는 이유로 여담, 삽입, 낯선 내용으로 여기거나 혹은 바울이 저자가 아니라는 시각이 존재해왔다. 사도의 권위로 어렵고 중대한 율법을 다루는 담론에 지극히 사적인 고백이 들어간 것은 바울적이지 않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 논문은 그것을 본문에서 벗어난 내용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난해하고 논란이 많은 율법이란 이슈를 1세대 크리스천 커뮤니티가 이해하도록 생생한 일인칭 내러티브로 설명한 문학적 도구로서 필수 불가결한 본질로 본다. 다시 말해서 바울은 우리가 이제는 율법에서 벗어났다는 주장을 보강하려고 사적인 고백을 사용한 것이다. 바울의 문학적 전략은 유대인과 이방인을 같은 믿음 안에 들어오게 하여 그들이 교회 안에서 서로 포용하도록 도와주는 데 있었다. “율법이 죄냐?”는 그의 물음은 율법을 지켜야 하느냐 마느냐로 대립하고 있던 교회 안의 두 그룹 모두에게 던진 질문이다. 따라서 바울의 자기 고백은 유대인에게나 이방인에게나 그리스도의 은혜 외에 율법으로는 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문학적 도구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5,100원
        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종철 시인은 사회와 문명에 대한 풍자를 지향했던 초기 시에서 출 발하여 중기 시 이후 ‘못’의 상징에 천착하며 가톨릭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세계를 갱신해온 ‘못의 시인’이자 ‘못의 사제’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김종철의 시세계에서도 특별한 위상을 차지 하고 있는 ‘등신불 시편’에 주목함으로써 김종철의 시세계를 삶과 죽음의 문제를 사유하는 보편적인 ‘종교 시편’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김종철 시인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초기 시에서 부터 추구해온 ‘성모’적 표상이 아닌 ‘등신불’이라는 성상화된 상징을 통해 자기구원과 인간의 영원한 번뇌인 죽음의 문제를 노래했다. ‘등신 불 시편’들은 시인이 암으로 투병하던 시기에 지장신앙의 성지인 구화산을 여행하면서 썼던 기행시편들로서, 죽음의 번민으로부터의 해방과 진정한 존재의 각성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담고 있다. 비록 김종철의 전작을 통해 보면 다소 예외적이고 분량상으로도 적어 보이지만, ‘등신 불’ 시편들은 이러한 불교적 ‘각성’을 통해 죽음의 의미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죽음의 문제와 존재론적 화두를 추구해온 그의 시세계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6,300원
        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이 도전하고 있는 “소비자 중심의 교회”를 만들어낸 산업시대 패러다임을 비평하고, 요한계시록의 어린양 리더십 을 통해 발견되는 “관계적” 리더십 신학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교적 교회론이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는 “소비자 중심의 교회”는 그 주요한 특성인 “거래적 방식”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성공적으로 파괴해 왔다. 소비자 중심의 교회는 로스트(Joseph C. Rost)가 파악한 산업시 대 패러다임의 연장선에 있으며 그 뿌리는 요한계시록 17장의 음녀의 특성을 관통하여 이사야 14장의 “아침의 아들 계명성”(14:12)으로 상징된 루스벨(Lucifer)의 정신까지 다다른다. 루스벨과 음녀는 둘 다 거래적 방식으로 리더십을 행사 또는 확보하고 있다. 선교적 교회론이 하나의 방법론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반복된 주장은 “음녀”로 상징된 타락한 교회를 향하여 “거기서 나”(계 18:4)오 라는 하늘의 외침과 일맥상통한다. 거래적 방식으로 지도력을 확보하고 힘과 권위를 행사하는 음녀의 활동은 요한계시록의 중심인 어린양의 리더십에 정면으로 대치된다. 상하계급구조(hierarchy) 속에서 더 높은 위치를 점하려는 루스벨의 태도는 기독교왕국(Christendom)으로 특징되는 교회역사의 정점마다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통하여 때로는 노골적으로 때로는 교묘하게 드러났다. 그 결과 어린양의 이미지를 통해 십자가에서 계시되었던 하나님의 성품은 거래적 방식으로 우위를 점하려는 교회지도자들을 통해 심각하게 왜곡되었다.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어린양의 리더십은 세속적인 리더십과 근본적으로 출발점이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세속적 리더십 이론들이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어린양의 리더십은 삼위일체 하나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한 “사랑의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요한계시록은 관계 중심의 선교적 리더십이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종말론적 교회의 특징이 되어야 함을 계시한다.
        7,000원
        5.
        201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velation was written by the apostle John during the reign of Roman emperor Domitianus(AD 81-96). This book is an epistle to seven churches in Minor Asia. The book of Revelation was written to encourage Christians to have victory over Satan and the evil powers during times of persecution. The Roman Empire required Christians to worship the emperors. Christians were persecuted because they refused to worship the emperor as lord. Revelation is relevant to missions in that Jesus Christ died for all humankind whether Jews or Gentile. All tribe, tongue, people, and nation will gather together to praise the Lord, the Lamb of God. Jesus’ death provided atonement for sinners regardless of race, tongue, people, and nation.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provided the way for all people groups to enter the kingdom of God. Whoever believes in Jesus Christ will enter the new earth and the heaven. Revelation highlights martyrdom in the midst of persecution and suffering under the rule of Roman Empire. Christians endured persecution by keeping faith in Jesus Christ and expecting His second coming with the holy angels to judge the evil and destroy Satan’s reign. As Tertullian said, “martyr’s blood is the seed of church,” Revelation encouraged Christians to maintain their eschatological faith and spread the gospel in the midst of persecution by the Roman Empire. Revelation maintains that the slaughtered Lamb of God is worthy to open the scroll and break it’s seals. Jesus Christ is praised and worshipped by angels, living creatures, and elders. Jesus is glorified because He was slain to save the sinners. He is worthy to receive power, wealth, wisdom, honor, glory, and might because His blood provided a ransom for humankind providing propitiation to God. Jesus will be worshipped by all the saints from every tribe, language, people, and nation. Revelation shows that God’s cosmic sovereignty has been challenged by Satan and his demons since Adam and Eve fell. Likewise, the church has been challenged by Satan when carrying out its mission mandate. Satan deceives the body of Christ causing the church to doubt God’s power and justice as well as God’s grace. The church must struggle with Satan in the world; however, God has the final victory over Satan. Revelation reveals that the history of salvation began with Eden but will end with the new earth and the heaven. God’s promise in protevangelium will be fulfilled in the city of New Jerusalem. The seven churches in Asia Minor had a strong hope that they would overcome Satan’s power although they struggled with Satan in the midst of persecution and affliction. The church today needs to endure necessary hardships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God’s mission. God is always with Christ’s church. The Holy Spirit is working to accomplish God’s will for the church.a
        9,000원
        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visited Asia Minor in Turkey and Patmos Island in Greece. In the midst of the once passionate mission fields of the seven churches of the Book of Revelation, the author received flashes of missiological insight and inspiration. The seven churches represent the churches of the apostolic age and in some way represent churches in every age. The risen Christ’s messages to the seven churches could be Christ's suggestions to today's crosscultural missionary. To interpret the messages the author uses missional hermeneutic instead of using the existing methods (the continuoushistorical, preterist, futurist, and idealist methods). This article can be classified as theology of mission, not a biblical commentary on the messages of the seven churches. Chapter 2, consisting of five sections, covers the messages to the seven churches and crosscultural mission. The five subtitles are as follows: 1. Messages to the churches in Ephesus; mission as an act of faith. 2. Messages to the churches in Smyrna; mission as being faithful even to the point of death. 3. Messages to the churches in Pergamum; mission as power evangelism starting from repentance. 4. Messages to the churches in Thyatira, Sardis, and Philadelphia; mission as holding what an awakened one has. 5. Messages to the churches in Laodicea; mission as being either cold or hot. The author concludes this article by emphasizing that the messages to the seven churches of the Book of Revelation are prophecies which speak to churches in every age. The author takes the seven messages as prophecies to crosscultural missionary, and emphasizes that the results will be determined by the attitude of crosscultural missionary.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