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가치를 조명하고, MDG 및 SDG 시기를 기준으로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및 경 향성을 비교 고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OICA 오픈데이터포털을 통해 총 1,065건의 교육 프로젝트 사례를 수 집하였으며, 수행연도, 지역, 국가, OECD DAC마커 기준에 따른 양적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ODA 프로젝트의 주제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명에 대한 형태소분석과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병행하였다. 연 구결과, 교육ODA 프로젝트는 MDG시기에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였으나, SDG시기에는 증가세가 둔화되며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점 지원 지 역은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점차 이동하고 있었으며, 양 시기 모두 베 트남이 최대수혜국이었다. 또한, 마커의 사용빈도가 SDG 시기부터 크게 증가하였으며, 성평등 이슈에 대한 개입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프로젝트 의 주제는 직업훈련원 구축 사업 중심에서 인적자원의 역량강화사업 중 심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양 시기에 걸쳐 직업, 기술, 대학 관 련 프로젝트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 교 육ODA가 글로벌교육목표와 큰 틀에서 일관된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MDG시기의 세부 수행 방향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현재 는 SDG4.3, 4.4, 4.c 목표 달성에 특히 주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This study emphasizes the vital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Vietnam in advancing gender equality, particularly in achieving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5. It argues that local governance is crucial for translating national gender equality commitments into practical outcomes while simultaneously driv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s Vietnam’s legal frameworks, policies, and local governance practices to assess their effectiveness in promoting gender-responsive governance under the UN SDG framework. The autho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ance and gender equality, emphasizing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integrating gender perspectives at the local level. The findings demonstrate a strong link between effective local governance and progress toward SDG 5. She advocates for empowering local governments to implement gender-inclusive policies, which are essential for achieving gender equ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Vietnam. Furthermore, it provides strategic recommendations to strengthen gender responsiveness in local governance, contributing to the broader discourse on sustainable and inclusiv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