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NS 계정으로 화장품 브랜드를 구독하고 있는 10대에서 50대 남녀의 지각된 연령을 기준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 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지각된 연령을 타인이 지각한 연령과 스스로 지각한 연령의 차이에 따라 ‘지각된 저집단’, ‘지각된 중집단’, ‘지각된 고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 중에 서도 ‘매력적’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 계는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만족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 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론은 지각된 연령집단별,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화장품 구매동기 와 만족도에 주요한 변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NS에서 지각된 연령이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화장품 판매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 및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상향비교와 SNS 이용동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구성한 후, SNS를 이용하는 초기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건부 자아존중감, SNS 상향비교, SNS 이용동기, 그리고 열등감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건부 자 아존중감이 열등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SNS 상향비교는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SNS 상향비교와 열등감의 관계에서 SNS 이용동기의 조절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건부자아존중감이 SNS 상향비교를 매개로 열등감에 미치는 간 접효과를 SNS 이용동기의 영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성인이 열등감을 경 험하는 것과 관련하여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CT기업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SNS 정보공유의 매개효과와 동기부여 언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ICT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210명을 대상으로 SPSS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과의 SNS 정보공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SNS 정보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SNS 정보공유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SNS 정보공유를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다섯째, SNS 정보공유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리더의 동기부여 언어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SNS 정보공유가 혁신행동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리더의 동기부여 언어 사용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mploy effective marketing methods using SNS by determining how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dine-out motivation and restaurant satisfaction and how this affects people's quality of lie. Survey respondents were men and women who have had used some kinds of food-related SNS. The survey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dine-out motivation, restaurant satisfaction, and food-related quality of life.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convenience, effective time-spending, and informative; Dine-out motivation was sorted into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b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variables by AMOS showed that among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ither entertainment or social motivation. Informa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ertainment motivation (p<0.05), but not on social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effective time-spending through food-related SNS had an impact on both entertainment (p<0.001) and social (p<0.05) motivation. Moreover, the effect of dine-out motivation on restaurant satisfaction showed that entertainment motivation (p<0.05) and social motivation (p<0.01) both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restaurant satisfaction. Also, restaurant satisfaction turned out to affect quality of life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food-related S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ustomers'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food-related S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ustomers'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however, it had an impact on dine-out motivation and gain pleasure of dining out an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thus, it is believed that marketing strategies thorough SNS by restaurant industry are required.
소셜미디어는 소비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프로슈머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스마트폰의 확산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성화를 가져왔다.사회복지기관에서도 SNS를 이용하고는 있지만, 아직 사회복지기관 안에서는 SNS를 이용한 홍보에 관한 연구가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사회복지기관의 SNS 이용은 SNS 계정을 통한 정보의 전달만이 주로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SNS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SNS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가 SNS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효율적인 SNS 홍보에 대해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독립변수로서 SNS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종속변수로서 이미지 향상과 자원개발을 설정하여 연구모형과 구체적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SNS 이용행태와 이용동기가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이용된 SNS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순으로 나타났고, SNS 이용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이용자의 이용행태가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NS 이용행태에 따른 홍보효과성을 분석한 경우엔 SNS 이용빈도와 홍보효과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행태와 이용 동기도 홍보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기관 SNS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홍보효과성이 높게, 이용 동기가 높을수록 홍보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wo different kinds of interactivity, such as user-to-user and user-to-media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otiva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WO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NS users in Korea. Using the convenience-sampling method, 300 surveys were collected and 295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after excluding data with careless responses or missing value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SEM) and path analysis by using AMOS22. The results indicate that four different SNS motivations (self-expression, relational, fun, and browsing motivation)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r-to-user and user-to-media interaction in SNS. Although both user-to-user interactivity and user-to-media inter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word of mouth, by comparing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in these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user-to-user interactivity has a greater effect on online WOM than user-tomedia inter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tivated SNS users want to express their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in contrast than their desire to learn media functions when motivated SNS users reveal their personalities, knowledge, and abiliti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