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analytic method, by which one can analyze tonal music. The essay begins by testifying the validity of Rameauian harmonic theory and of traditional harmonic analysis by Roman numerals. The analytical limit which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the harmonic analysis poses is supplemented and combined with the theoretical strengths that Schenkerian theory provide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harmonic analysis by Roman numerals, which focuses exclusively on local levels of the chord to chord, what I call the macro-analysis, in which the individual labels of each chord are jointed through brackets under the chord symbols, incorporat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harmonic functions of each chord and of the musical contexts and the harmonic syntax that the chords create. The examination of the tonal harmony from a Schenkerian point of view serves as a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he eclectic methodology, the dialectical result of the Rameauian and Schenkerian theories, to tonal music. Excerpts from Schubert's Lied, Nact and Tra¨ume and Chopin's Nocturne in A^(b) major, Op. 32, no. 2 are analyzed both by the macro-analytic technique and by the Schenkerian analytic method. The paper reveals that the two analytic methods lead to quite similar analytic results.
        4,900원
        4.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즈비카우스키(Lawrence Zbikowski)와 에버렛(Walter Everett)의 연구 들을 검토하여 가곡 분석의 한 방법론을 도출하고 이를 리스트의 가곡 《오 사랑하라》(O lieb)의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증명하는 데에 있다. 즈비카우스키는 개념적 혼성 이론(Conceptual Blending Theory)을 가곡 분석에 적용시켜 음악과 가사의 상호작용을 통 해 만들어내는 새로운 의미 구성의 양상을 탐구하였다면, 에버렛은 주로 쉔커식 분석에 의존 하면서 음악 표면적 사건 뿐 아니라 깊은 층위에서의 음악적 사건들을 시적 내용과 결부시키 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필자는 실제적인 음악 분석을 통해 가사의 내용과 결부시킬 수 있는 음악적 특징들을 찾아내는 데에 있어서는 에버렛의 방법론을, 음악적 특징들을 시적 내용과 연결시켜 설명하는 작업에는 즈비카우스키의 방법론을 발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종합적이 고 체계적인 분석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