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69~2007년간 한국 전체의 어업생산통계자료에서 멸치 및 미역 생산량 중 1990~2007년간 동해남부해역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다. 이를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같은 기간의 207선 수온자료를 이용하였다. 표층수온의 저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호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이 많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악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다. 반대로 표층수온의 고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은 적었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호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많았다. 표층 수온이 고온화 되면 멸치 생산량은 증가하고, 표층수온이 저온화 되면 미역 생산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anule tea variants (WSM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mustard hot water extract; ASM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mustard autoclave extract; WST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tangle hot water extract; and AST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tangle autoclave extract) from sea tangle and sea mustard powder. The Color of WSTGT showed the highest L*, b* values, and the lowest a* value. The water absorption binding agents in ASMGT were higher than those in WSMGT, WSTGT. and ASTGT. Binding agents on water absorption in ASMGT were higher than those of WSMGT, WSTGT, and ASTGT. The alginic acid content of ASMGT was highest.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ASMGT and ASTGT were highes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in WSTGT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granules tea vari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ssure extraction can be used in functional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