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ute pancreatitis (AP) is an inflammatory disorder and the severity range from mild to severe form. The mortality of severe form of AP is still high despite of tremendous improvement of diagnostic modalities and therapeutic options. Although pathogenesis of AP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autodigestion theory is regarded as an initial common pathophysiologic mechanism of AP for about 2 centuries. However, it is obscure which mechanisms are involving the disease severity. Upregulation of adhesion molecules, leukocytes,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are also concerned local injury, systemic exacerbation of inflammation and ultimately organ failure. In addition,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kappa B is also influence the severity through upregulate the proinflammatory genes. The patterns of acinar cell death are close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of AP. The degree of acinar cell apoptosis is reversed correlated whereas necrotic cell death is proportionate to severity.
        4,000원
        2.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프로산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간질제로서 약제 유발성 췌장염의 흔한가능한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러나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의 유해사례로서발프로산 유 발성 췌장염의 국소 합병증으로서 췌장 가성낭종은 매우 드 물며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에 병발된 출혈성 가성낭종 은 보고된 증례가 없을 정도로 드물다. 이에 본 저자들은 발 프로산을 복약한 후 발생한 급성 출혈성 췌장 가성낭종을 경 피적 배액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
        3.
        201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염성 췌장괴사의 고전적인 치료는 개복 수술이었다. 하지만 개복 수술 후 합병증, 사망률의 유의한 증가가 보고되면서 항생제와 보존적 치료가 일차적 치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있다. 보존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한 배액법 및 괴사제거술 등의 최소 침습시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최소 침습 시술의 선택은 환자의 임상 양상, 보존적 치료에 대한 치료 반응, 괴사 조직과 위장관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그에 따른 시술 방법의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들은 급성 감염성 췌장 괴사에서 항생제 등의 보존적 치료와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하였으나 치료반응이 없는 환자에서 경피적 내시경적 괴사 제거술을 통한 성공적인 괴사 치료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