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소형 간식용 생산을 위한 적정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고구마 삽식기, 재식거리 및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응한 간식용으로 적합한 소형 고구마 생산을 향상시키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간식용 고구마생산을 위한 적정 삽식시기는 4월 중순(피복재배)에 삽식거리는 75cm×15~20cm , 6월 중 순(무피복재배) 삽식시 75cm×15cm 가 적합하였다. 2. 고구마 상저수량은 삽식후 수확일수가 길어질수록 증수되었으나, 삽식후 100일 수확이 80일이나 120일 수확보다 소형 간식용으로 적합한 고구마 괴근 비율이 높았다. 3. 삽식시기 및 삽식거리에 따라 상저수량이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4월 15일 조기 비닐피복재배에서 처리간에 변이폭이 적어 안정적이었다. 4. 보통기(5월) 비닐무피복재배보다 조기(4월) 비닐피복 재배가 농가소득이 32~61% 증가되어 유리하였다.
        4.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uffer zone selection technique for natural purification of livestock wastewater within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was develop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e technique was applied to 4.12 km2 watershed located in Gosan-myun, Ansung-gun which have 20 livestock farmhouses. As a necessary data for selecting process, feedlot site map, digital Elevation Model (DEM), stream network, soil and land use map were prepared. By using these data, wastewater moving-path tracing program from each feedlot to the stream was developed to get the basic topographic factors; average slope through the paths, distance to the nearest stream and watershed outlet. To identify the vulnerable feedlots for storm event, the grid-based storm runoff model (Kim, 1998; Kim et al., 1998) was adopted. The result helps to narrow down the suitable area of buffer zone, and finally by using subjective but persuasive conditions related to elevation, slope and land use, the suitable buffer zones were se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