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nvestigation aims to identify the roles of the discourse marker ja in home shopping discourse. In 12 excerpts of home s hopping d iscourse, ja h as been f ound 8 6 times, u sed as a marker o f adding more information, changing a subject, starting a new topic, focusing and suggesting.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dding more information function,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35 times), and the suggesting one were newly found in this type of discourse and direct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course: show hosts tend to provide as much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s possible and to justify the consumption by suggesting various reasons. In addition, cases in which ja was used more than two times by one speaker were often found, which is connected to the fact that it is necessary to keep consumers' attention for the purpose of selling products. Also, guests who occasionally appear to help the hosts never used ja, which is because only show hosts have the power to control the discourse.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topic (e.g. price, composition, product features, or rushing comments), ja was used as a subject-changing marker second most frequently (29 times), especially when making rushing comments. These findings turn out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ome shopping discourse,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studying discourse markers with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discourse.
        6,0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TV화면에 입체감을 표현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촉진하는 TV홈쇼핑 식공간 연출에서 표현되는 공간 깊이감이 표현되는 연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3월에서 2010년 11월까지 C*홈쇼핑에서 실제로 방영된 식기 판매 방송 중 6개 브랜드 식기 판매 방송의 실제 연출 이미지 자료를 분석하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서 감성 형용사 이미지어를 분석하였다.TV화면이라는 평면에 입체를 표현되는 연출의 특징은 크기의 비교, 중첩, 사선배치와 원근법적 배치로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식기방송에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 앵글의 종류를 버즈 아이 뷰, 하이 앵글, 아이 레벨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정리되는 것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연출은 브랜드 식기의 주요인에 높은 상관도를 보인 이미지어를 인식하는 경우라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 앵글과 특성에 의한 선호 연출의 방향 제시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량적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연출 개념이 가능하다고 본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