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 quality is a topic of international concern, as it impacts student learning and teacher prepa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undergraduate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from two universities in Korea with those of Oregon, USA. We examined the programs’ structural curricular coherence, conceptual curricular coherence, and curricular balance. Structural curricular coherenc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overarching goals of the institutions’ programs,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s of study in terms of meeting those goals, and outside bodies of evidence. All universities were in structural coherence for various reasons. Conceptual curricular coherenc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preparation and their clinical practice. In case of Korea, most students from both universitie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practical preparation. In the US, the students from both institutions felt well prepared to transition to inservice teaching. To determine curricular balance, we examined the institutions’ preparation programs looking at the credit hours taken in the four main areas of the teacher knowledge base: GPK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SMK (Subject Matter Knowledge),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K (Contextual Knowledge). The total credit hours taken in each category was very similar by country but the application and field component in the USA was far greater than those of Korea where the focus was heavily on SMK and PCK. The main reason for these may be the nations’ licensing and employment processes. Keywords: teacher quality,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service, preservice, curricular coherence
        4,800원
        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와 학생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줄 알아야 할 것을 표준으로 정하여 교사 교육과 초·중·고등학교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삼는 표준 기반 개혁은 미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사 교육 표준화 움직임에 능동적 대처를 한 미국 대학의초등 교사교육 과정 중에 있는 여덟 명의 예비 교사가 교사교육 프로그램 첫 학기동안 교육적의사결정에서 어떤 변화와 발전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예비 교사교육 표준(INTASC), 경력 교사교육 표준(NBPTS), 그리고 최근 교사교육 연구를 활용하여, (1) 학습자와 학습, (2) 알아야 할 것과 알아가는 과정, (3) 평가와 평가과정, (4) 가르치는 것과 수업이라는 네 범주로 정리하였고, 각 범주 아래 세부 항목을 두어 각 범주별 이해를 세부적으로 정리하였다. 교사교육 표준을 이용한 분석은 표준 적용을 목적으로 했다기보다는, 이와 같은 네 가지 범주를 매일 변화하는 교실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하여 수없이 많은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교수활동의 복잡성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였다. 예비교사가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이해는 어떤 것인가? 예비교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얻은 다양한 지식과 기능을 어떻게 통합해 의사결정을 하는가? 분석 결과는 초등 예비교사가 첫 학기를 지내면서 학습자와 학습 분야에서 보다 적절하며 다층적 수준의 교육적 결정을 내리기 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다른 분야의 경우에는 보다 기초적인 수준의 이해를 발달시키는데 머물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가지는 시사점과 더불어 예비교사의 이해를 분석하는데 활용했던 아동 연구(Child Study), 분석 방법, 그리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영향과 한계 역시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