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work engagement among 227 Chinese university teachers, with a focus on emotional intelligence's mediating rol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revealed: 1)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 engagement; 2) Emotional intelligence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s learning communities both directly enhanced work engagement and indirectly improved it by boosting emotional intelligence. The findings suggest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emotional competence training to strengthen teachers' self-awareness and regulation skills, while simultaneously fostering collaborative professional communities through shared vision-building, peer collabo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Additionally, adopting flexible promotion systems informed by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could further enhance teaching engagement, professional dedication, and overall work vitality. These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provid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upporting teacher development through both emotional and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교사학습공동체의 촉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맞춘 목 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표와 가치 공유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원동력이 되었다. 공동체의 목표와 가치는 외부에서 주어지기 보다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성적 대화를 통해 공유했을 때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교장의 격려와 지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내 촉진자의 정서적 지지 및 리 더십 공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구성원들 간의 반성 적 대화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교사들 의 자발적 의지로 시작된 공동체에서 실천에 대한 반성적 대화뿐만 아니라 가정 및 신념 등에 대한 반성적 대화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졌다. 넷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공유된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적 탐구와 실천 공유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교육실천과 연계된 교사학습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협력적 탐구의 지속성과 실천 공유 방식에 있어서는 두 사례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사학습공동체 촉진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율성, 구성원들 간 신뢰 및 지원, 학교장의 압력 및 지원, 충분한 시간, 그리고 구성원들의 협력적 탐구 의지와 집단 책임 감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발전시키 는 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