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선추적 기술을 활용하여 한국 전통정원에 대한 세대별 시각적 지각과 인식 차이를 규명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기술과 설문조사를 병행하 였다. 설문결과 두 세대 모두 전통정원을 신비롭고 조화로운 공간으로 인식하며,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 다. 하지만 노년층은 전통정원을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공간으로 인식한 반면 청년층은 다양한 요소를 탐구할 수 있는 흥미로운 공간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다양성과 가독성에 대한 인식에서도 세대 간 차이 가 있었는데 노년층은 전통정원을 친숙한 공간으로 인식하며, 그 구성요소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경관 으로 평가하였다.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선호 특성과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년층의 경우 친숙함과 신비감이 전통경관 선호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선추 적 결과 노년층은 건축적 요소에 시선을 가장 오래 고정하며, 과거 경험과 향수와의 연결성을 보인 반면 청년층은 수경 요소 및 점경물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전통정원이 세대별로 다르게 인식되고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전통정원의 현대적 설계 및 보존 방안 마련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2.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compare the configuration space in traditional gardens of Korea, China and Japa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and clarify the identity of our gardens and architecture. Korea, China, and Japan are all han-character culture country. Though they have very strong affinity on culture and thinking, the three gardens respectively show their ow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a Korean garden is the composition well-attuned to nature, which not only respects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with high mountains and splendid streams but also incorporates the artificial. The Chinese garden is characterized by the epitomization of grand nature through imitation of natural scenes such as valleys, caves, and waterfalls, and creation of an environment that’s like an abode of immortality. What is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garden is the emphasis on the beauty created through artificial composition of nature and artificial transformation of trees based on interpretation of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Zen Buddhism. Specifically, it seeks an ideal combin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