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을 대상으로 결의하는 제재조치 인 대북제재 중 해양에서 적용되는 조항을 분석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항만 관계부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리나라는 UN 안보리가 채택될 당시 UN 회원국에 부과된 의무 때문에 적 극적으로 이행하다가도 대북정책의 변화에 따라 평화적인 노선을 취하는 등의 대북제재 이행에 변화가 있었으나, 북한의 위협은 증대되고 있으며, 대북제재 를 적극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대북제재의 주요 조치는 북한산 석탄, 철, 수산물을 전면 수입금지, 북한선박 의 해상환적을 금지, 북한으로 수입되는 정유와 원유의 수입상한 설정과 같은 대부분 해상에서 제재가 필요한 항목들이라 할 수 있겠다. 한반도 주변해역과 항만이 주요무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이 행해야 하며, 위와 같이 단속이 쉽지 않으므로 해군과 해양경찰 뿐만 아니라 항만 관계부서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대북제재를 이행을 위한 항만 관계부서 협력 방안은 첫 번째, 관계부서의 대북제재 관련 정보(관심선박 목록, 위반사례, 선 박위장)를 최신화해야 한다. 두 번째, 대북제재 법제도 개선 우수사례를 벤치마 킹 해야 한다. 세 번째, 관계부서인 해양수산부, 지역세관, 해상교통관제센터가 대북제재 이행지침을 마련하고 적용해야 한다. 네 번째, 해운업계가 대북제재 이행을 위한 내부지침을 마련하는 등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The concept of catch-all controls is not new, having been developed in the US and EU over 30 years ago and legislated about 20 years ago. It is a system that controls what is not in an item based on the end-user and end-use rather than the strategic items defined by the existing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Most importantly, the controls are based on end-user or end-use. Catch-all controls are the best tool to solv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list based controls. Technological advances, emerging technologies, and globalization have made standard export controls insufficient. Catch-all controls are optimized to control non-compliant, under-specified, partial, and intangible technology transfers. Catch-all controls have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in the four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MECR) and are also reflected in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The NSG has a catch-all provision in INFCIRC/254/Part2 Paragraph 5, the AG has a catch-all condition in the Guidelines, and the MTCR has a catch-all provision in the Guidelines Paragraph 7. Korea has also implemented catch-all controls reflected in the Foreign Trade Act of 2004.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of catch-all controls. First, the problem with catch-all controls is that there are different cases in different countries for list controls, and there are too many cases in other countries to control what is not on the list. Second, there is very little international legal enforcement for failing or missing catch-all controls. Finally, information about these catch-all cases is not uniformly available. For catch-all control, Korea currently consolidates the list of traders of concern including UN sanction list and denial list of MECR, provides a correlation table of significant items and countries requiring catch-all control for stakeholders, and organizes and operates a coordination committee for traders of concerns. In the future, Korea should strengthen the monitoring of other countries’ catch-all control cases and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meetings to disseminate Korea’s best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