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코로나-19 펜더믹과 이로 인한 양적완화, 그리고 이어지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인상은 조직의 경영환경에 큰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 이렇게 큰 불확실성 속에서도 조직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있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의 성과와 큰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역할 외 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학계와 실무적 노력이 더욱 더해지는 실정이다. 이 런 맥락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리더십 유형을 제안 및 실증하는 노력을 해 왔다. 그리고 다수의 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살핀 국내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함 으로써 조직시민행동을 증진시키는 리더십 유형의 하나로 윤리적 리더십의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 째,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사회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정함으로써 두 변 수 사이에 나타나는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력을 높이고자 한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이 친사회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아울러 친사회적 동기를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상사-조직 가치일치가 어떻 게 조절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 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는 군 조직의 간부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으며,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한 실증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수간의 관계를 친사회적 동기가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과 친사 회적 동기의 관계는 상사-조직 가치일치 정도가 높을 때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조절 된 매개효과 역시 상사-조직 가치일치 정도가 높을 때만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 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 윤리적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하였으며, 친사회적 동기의 매개역할과 상사-조직 가치일치의 조절기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 행동 두 변수간의 관계에 있어 이해의 폭을 확대하는 이론적 기여와 함께 조직시민행동 증진을 위한 리더 십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실무적 교훈을 제시한다.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to observe how individual creativity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strived to explore how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innovate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itself so that teams and organizations can respond more effectively to new rising trend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value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propensity congruence, goal congru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by exert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synergy as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PSS 24.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 was calculated. Afterwards,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e study were 309 copies. Results – First, Individual crea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decision-making processes fused with individual creativity could create an atmosphere of knowledge sharing and transform the organization. Second, value congruence adjust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reativity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Conclusions – First,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recognize the value and secure the pool of creative talents who will be a potential future basic source of organizational success and competitive advantage. Second, managers should be able to identify those with creative talents and expertise, and use them to increase their knowledge sharing performance, while also developing emotional and motivational creativity. Third, in order improve knowledge sharing performance,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aspect of creativity. Fourth, managers should striv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beneficial for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self-management capabilities. Fifth, managers should be able to develop decision-making processes to develop potential creativity and encourage creative thinking, opinions, or solutions. Sixth, managers should promote the dissemination and integration of new knowledge based on the creative views and attitudes of team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