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배경색상을 가진 환경에서 다양한 색상의 골프공에 대한 시인성을 평가하고 교정 상태에 따른 시인성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안과 질환과 시각기능 장애가 없는 25명(남성 13명, 여성 12명, 평균 나이24.72±1.81세) 이었다. 검사 조건을 주변 환경(잔디와 모래), 교정 상태(완전 교정, +0.50 D 운무, +1.00 D 운무), 골프전용 렌 즈 착용과 미착용 상태로 총 3가지 조건으로 설정했다. 각 조건에서 파란색(B), 주황색(O), 형광색(F), 하얀색(W) 의 공을 무작위로 배치한 뒤 공이 인식되는 최소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은 골프 거리측정기를 이용하 여 측정하였고, 각 환경에서 주관적인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잔디에서 측정한 결과, 하얀색 92.72±13.07, 주황색 98.12±3.21, 파란색 65.76±11.47 및 형광색 97.96±4.96 m이었으며(p<0.010), 모래에서 측정한 결과 완전교정 상태에서 하얀색 66.80±7.87, 주황색 85.72±9.67, 파란색 86.84±7.86 및 형광색 86.08±6.64 m이었다(p<0.010). 잔디와 모래에서 모두 운무양이 증가할수록 최소 인지 거리가 멀어졌다(p<0.010). +1.00 D 운무 상태에 골프 전용 렌즈를 장입한 결과 하얀색 68±13.37, 주황색 78.12±10.89, 파란색 38.28±7.88 및 형광색 81.52±10.39 m 이었으며, 모든 색상의 공에 서 최소 인지 거리가 멀어졌다(p<0.010). 잔디에서 주관적인 시인성 평가는 형광색이 가장 시인성이 높았고 파란 색이 가장 낮았으며, 모래에서는 파란색이 가장 높았고 하얀색이 가장 낮았다(p<0.050).
결론 : 본 연구 결과, 배경색상에 따라서 물체의 최소인지거리 차이가 있었고 동일한 배경에서도 물체의 색상 별로 최소인지거리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시의 저교정 정도와 비례하게 모레와 잔디환경에서 모두 최소인지 거리가 짧아졌으며, 그린 착색 렌즈는 잔디 환경에서 모든 색상에 대한 최소인지거리가 멀어졌으며 잔디 환경에서 시인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보였다.
목적 : 본 연구는 실제 골프장과 여러 색상의 골프공 이미지로 만들어진 파워포인트와 안구 추적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색상에 따른 시인성과 안구 주시 시간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총 20명(평균연령: 24.9±1.99세, 남자: 11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골프장 이미지와 동영상, 여러 색상의 골프공을 이용하여 파워포인트를 만든 후 실험실에 빔 프로젝터를 투사한 뒤 Eye tracker glasses 2(Tobii, Danderyds, Stockholms, Sweden)를 착용시키고 이미지 내의 공을 찾도록 지시하였 다. 인지한 공의 개수, 시간, 순서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한시간 동안 찾은 공의 개수는 하얀색 공 4.70±0.68, 주황색 공 4.52±0.84, 파란색 공 4.12±0.75, 형광색 공 4.90±0.37개였다(p<0.010). 모든 공을 인지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하얀색 6.77±2.37, 주황색 7.61± 2.18, 파란색 9.50±0.96, 형광색 5.18±2.05초였다(p<0.010). 서로 다른 색상의 공이 배치된 이미지와 동영상에서 인지한 순서를 측정한 결과 이미지에서는 형광색(40.00%)을 가장 먼저 인지하였고, 파란색(48.75%)을 가장 늦게 인지하였다(p<0.050). 동영상에서는 형광색(40.00%)을 가장 먼저 인지하였고, 파란색(50.00%)을 가장 늦게 인지하였 다(p<0.050). 공이 날아가도록 연출된 이미지에서 인지한 공의 개수는 하얀색 공 1.90±0.85, 주황색 공 2.25±1.06, 파란색 공 1.50±0.68, 형광색 공 3.10±0.71개였다(p<0.010).
결론 : 본 연구 결과, 푸른 잔디 배경에서 모든 색상의 공은 다른 시인성을 보였고 형광색의 공이 시인성이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란색의 공이 가장 시인성이 낮다는 결과를 보였다. 색 인지를 위한 주시 시간은 형광색이 가장 짧고, 파란색이 가장 길게 측정되었다. 시인성이 낮을수록 색을 인지하기 위한 주시 시간은 높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목 적: 크로마젠 렌즈의 색상별 시감투과율과 색상에 따른 근거리 시력과 선명도를 측정하여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방 법: 8가지 색상을 가진 크로마젠 렌즈의 분광투과율을 Shimadzu사의 UV-VIS Spectrophotometer(UV-2450)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380~780nm의 가시광선 전 영역에 대한 시감투과율을 구하였다. 대전 소재 K대학교 대학생 중에서 원거리 양안 교정시력이 1.0이상이 나오는 학생 총 30명 대상으로 800lux의 조명에서 40cm 근거리용 스넬렌 E시표를 이용하여 색상별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고 가장 선명도가 좋은 색상과 가장 선명도가 떨어지는 색상을 선택하여 색상별 분포를 알아보았다. 결 과: 시감투과율은 Yellow 69.9%, Blue 69.1%, Violet 68.4%, Pink 63.5%, Aqua Blue 63.2%, Orange 61.5%, Magenta 52.2%, Green 46.2% 로 나타났다.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Yellow와 Blue에서 가장 높은 시력이 측정되었고, Green과 Magenta에서 가장 낮은 시력이 측정되었다. 선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으로는 Blue(30%)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선명도가 가장 낮은 색상으로는 Magenta(26.7%)로 많이 선택되었다. 결 론: 시감투과율이 높은 색상일수록 근거리 시력과 선명도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렌즈의 색상 선택 시시감투과율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색상의 비교 분석에 따라 적절한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면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HUD(Head Up Display)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차 앞 유리(windshield)에 투영된 주행정보의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주행정보는 전방시선 0˚에서 약 하방 9˚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고, 실험실의 형광등, 5개의 LED 조명등과 TV출력 영상을 통해 25[lux]의 야간 운전 시 조도 환경, 100,000[lux]의 주간 운전 시 조도 환경을 재현하였다. 먼셀 표색계의 기본 5색(R, Y, G, B, P)과 신호등의 색 YR, W 총 7색의 단일 색과 W를 제외한 6개 글자에 각각 흰색 글자 외곽선, 회색 글자 외곽선을 주어 외곽선 있는 글자 12개를 만들었다. 총 19개의 실험 자극물을 주간과 야간 환경에서 각각 주행정보의 컬러 시인성, 피로도, 선호도, 방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시인성이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첫째, 주간에서는 Y와 G 색상같이 색상 자체의 휘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이 높았다. 둘째, 텍스트의 외곽선이 있는 경우, 외곽선이 배경색으로 작용하여 색상과의 휘도대비를 일으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셋째, 외곽선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의 휘도가 배경색 휘도로 작용하여 글자의 휘도와 큰 대비를 이룰 때 시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운전자의 주시야를 고려해 전방에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 HU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주행정보의 색채시인성이 중요한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배경과 글자의 휘도대비를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스캐니메이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색의 적용 방법을 찾는 것이다. 스캐니메이션이란 Scan과 Animation의 조합어로서 잔상의 원리를 이용한 운동성 착시의 한 종류이다. 최근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요소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그것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스캐니메이션에 대한 선행연구가 아직 부족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는 마스킹 레이어의 마스킹 면적과 투명한 슬릿의 면적, 이미지 레이어의 이미지 분할 등 스캐니메이션의 구동 원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인간의 시·지각에 있어 70% 이상을 색이 차지하므로 효과적인 스캐니메이션의 사용에 있어 색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배색에 관한 선행연구가 있지만, 이는 PCCS 색체계를 이용한 일부 색상의 배색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는 2010년 한국산업표준으로 지정된 KS 표준색을 기준으로 한 스캐니메이션의 연구라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며, 스캐니메이션을 산업디자인 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색의 적용 방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통해 검은색 마스킹 레이어를 기준으로 색의 시인성 지수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색상의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색상환을 기준으로 인접한 색상일수록 유사한 시인성 지수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명도와 채도를 기준으로 하는 분석 실험을 통해서는 명도와 채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더라도 시인성을 결정짓는 유일한 색의 속성으로 작용할 수 없다는 것을 파악했다. 따라서 스캐니메이션을 산업디자인 분야에 적용할 시에는 기준이 되는 마스킹 레이어의 색을 중심으로 이미지 레이어 색의 시인성 지수를 개별적으로 참조하여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목적에 맞는 스캐니메이션의 색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색의 마스킹 레이어를 기준으로 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