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붓다의 내적 명상이나 수행 가르침을 통해 치유목적과 대상, 방법과 그 단계를 밝히고 붓다의 내적 치유법의 특징을 다룬다. 먼저 붓다의 내적 치유의 목적은 세간적, 출세간적 목적을 포함하며 단순한 세속적 관심과 치유단계를 넘어 내적 수행을 통해 완전한 고통의 제거하여 고통에서 해방된 붓다와 아라한과 같은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 치유대상을 개략적으로 나와 세계, 감각적 욕망, 탐진치, 번뇌, 사견, 무명뿐만 아니라 고통에서 벗어나 깨달음을 이끌지 못하고 방해하는 악하고 나쁜 것을 망라한다. 내적치유법은 지킴, 보호 명상과 대상에 대한 탈접촉과 탈주목화를 중심으로 한 예비적 내적치유법과 마음집중 명상과 통제, 제거, 버림 명상을 중심으로 한 근본적 내적치유법이 있다. 내적치유는 삼학, 사성제, 염처수행, 오취온, 일체의 무상, 무아, 고, 공, 내적수행과 선악 사유의 대치적 관점에서 단계를 구분하였다. 삼학관점에서는 신체적, 언어적 치유, 심리치유, 인지적 치유로 진행된다. 사성제적 관점에서는 오온집착 치유, 삼독 치유, 치유의 완전함, 수행과 발달 치유로 단계화 된다. 염처수행적 입장에서는 사실관찰, 감정관찰, 심리관찰, 장애와 협동요소 관찰로, 오취온 치유관점에서는 형태, 감정, 지각, 의도, 의식에 대한 집착을 단계적으로 치유한다. 일체의 이해관점에서는 항상함, 나, 행복, 항상하는 주체자에 대한 집착을 순차적으로 치유한다. 그 밖에 수행적 관점과 사유대치적 관점을 덧붙여 설명하였다. 끝으로 붓다의 내적치유법의 특징은 영원한 치유, 순차적 치유, 다양한 치유단계, 자가치유, 개인치유 중심, 변화가능성에 따른 치유, 인과관계에서 본 치유, 내적치유의 시스템 구축으로 대변되었다. 붓다의 내적치유는 현재 심리적 문제에 초점을 넘어 적정치유, 완전한 치유, 자가 치유에 초점을 두고 조건의 변화에 따라 치유의 관점을 맞춰야 새로운 치유기법을 사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4,500원
        2.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시학, 즉 시쓰기에 대한 인지학적 가능성에 대한 초기단계의 명상적 글쓰기를 탐구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본인은 전체론적 방법으로 예이츠의 시학과 그의 자동기술에 대한 명상적 글로 시작하는데, 그의 집단 시학에 대해 선적 명상기법을 적용해보려고 한다.
        5,500원
        3.
        2018.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비디오아티스트 백남준의 예술세계에서 제안된 ‘전자선[電磁禪, Electronic Zen]’이 그의 1960년대 초기 작업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맥락 하에서 도출되었는지 그 배경을 밝히고 명상으로서의 가능성 단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20세기 초 양자역학과 인 지과학이 19세기의 전자기학의 유산을 물려받아 뇌의 공감각을 미세한 전류의 커뮤니케 이션으로 재설정되는 것이 백남준이 기획한 ‘전자선’이라고 봤는데, 즉 이 공감각은 13대의 TV 세트가 가진 미세한 차이의 발견으로부터 이어졌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 장이다. 1960년대부터 전자 미디어의 메카닉 형태, 즉 TV의 보급과 함께 ‘미디엄 [medium]’ 개념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등등의 물질적 매체 중심으로 인식되었지만, 그 이전에는 ‘중간’ ‘매개’ ‘영매’와 같은 무형적인 매개 작용에 주목해왔는데, 백남준의 ‘전자선’은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후자의 본래 적 미디엄의 의미를 추구해왔음을 그의 초기 에세이와 단편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사르 트르, 불확정성의 원리, 중세신학, 하이데거, 황홀, 신비주의 등등의 의미맥락 속에서 그 가 비매개적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예술을 실행하고자 했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 가 환경화되어 있는 현재의 미디어 조건 속에서 어떤 명상의 형태를 착안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엿보고자 한다.
        5,700원
        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마이클 로바츠의 이중 비전이 어떻게 선불교 명상을 표현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시는 선 불교명상의 진행 단계에 따라 구성되 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명상의 기본적인 관심사 즉 이원론에 대한 문제, 시간의 개 념, 그리고 이세상의 한계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망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선 불교 명상의 요소들이 특정한 상징, 시의 세팅, 그리고 다양한 시적 테크닉을 통해 나타나 고 있다.
        5,2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 will focus on “Byzantium” and explore how the poem mirrors the essence of Zen Meditation. Not only is the poem patterned after the progressive procedure of Zen meditation, but they also reflect the fundamental concerns of Zen meditation, such as the problem of duality, the concept of time, and an aspiration for freedom from the limitation of this life. These features of Zen meditation are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specific symbols, the implications of setting, and various poetic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other way to read the poem by analyzing it in the context of Zen meditation. The structures of the poem are loosely patterned after a typical process of meditation through which the meditator reaches Unity of Being. The process of Zen meditation is nicely depicted in the ten pictures titled “The Boy and the Ox,” each of which shows the gradual development of the meditator’s search for his won nature or Buddhahood. For the convenience of my discussion, I will simplify the ten stages of Zen meditation to four−confusion, immersion, union and return−which, I believe, cover all the important procedures in the meditation. The first stanza of “Byzantium” exhibits some typical features related to its meditative scheme, in which we can feel the sense of confusion on the part of the meditator or poetic persona. In other words, the meditator sets out his meditative journey to search for an answer for his sense of confusion or clear it. The second to the fourth stanzas are equivalent to the second stage (immersion) and the third stage (union or seeing the vision) of meditation. The last stanza parallels the final stage of Zen meditation (return). In “Byzantium,” we see the reflection of Zen meditation. The structural patterns of the meditative poems generally correspond to the four stages of Zen meditation: confusion, immersion, union or seeing the vision of the unity, and return. Yeats’ use of poetic techniques such as line scheme, use of number symbolism, and the arrangement of stanza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ditative scheme of the poems. In addition, the major concern of the poems is reminiscent of that of Zen meditation in that they confront the problem of duality, which sets up the occasion for meditation. The agony of duality results from the concept of time. Thus, the meditator tries to reconcile the dichotomous elements, resulting in the state of freedom from time. More than anything else, the purpose of Yeats’ meditative poem lies in the poet’s aspiration for self-awakening, as in Zen meditation. The poem is Yeats’ record of his life-long efforts to meet his “fourth self” or Great Self.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