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하 이동 특성을 가지는 분자[쿠마린(C)-DNP]의 흡수 스펙트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장거 리 보정 밀도 범함수 이론 (long-range corrected density functional theory, LC-DFT)인 LC-BLYP의 범위 분리 매개변수 (μ)를 여러 가지 피팅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기체 상태의 Koopmans 이론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μ값은 실험적 흡수 피크에 비해 청색 이동(blue-shift)되는 경향성을, 반대로 용매 환경에서 최적화된 μ값은 과도하게 적색 이동 (red-shift)이 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반면, 실험적 데이터에 맞춰 조정된 μ값은 흡수 스펙트럼의 피크 위치와 세기를 가 장 고정확도로 재현하였으며, 특히 C-DNP와 C-OH 분자에서 나타나는 최대 흡수 피크 에너지의 차이를 잘 예측하였 다. C-DNP의 HOMO와 LUMO 전자 분포는 모든 μ값에서 일정한 모양(shape)을 가지고 있었으며, HOMO에서 LUMO 의 전이는 C에서 DNP로의 분자 내 전하 이동(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임을 보였다.
We presen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imultaneous multifrequency observations of the blazar 4C +28.07. The observations were conducted by the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ctive Galactic Nuclei (iMOGABA) program, which is a key science program of the Korean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Network (KVN). Observations of the iMOGABA program for 4C +28.07 were conducted from 16 January 2013 (MJD 56308) to 13 March 2020 (MJD 58921). We also used γ-ray data from the Fermi Large Array Telescope (Fermi-LAT) Light Curve Repository, covering the energy range from 100 MeV to 100 GeV. We divided the iMOGABA data and the Fermi-LAT data into five periods from 0 to 4, according to the prosody of the 22 GHz data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light curves were plotted and compared. However, a peak that formed a hill was observed earlier than the period of a strong γ-ray flare at 43–86 GHz in period 3 (MJD 57400–58100). Therefore, we assumed that the minimum total CLEANed flux density for each frequency was quiescent flux (Sq) in which the core of 4C +28.07 emitted the minimum, with the variable flux (Svar) obtained by subtracting Sq from the values of the total CLEANed flux density. We then compared the variability of the spectral indices (α) between adjacent frequencies through a spectral analysis. Most notably, α22–43 showed optically thick spectra in the absence of a strong γ-ray flare, and when the flare appeared, α22–43 became optically thinner.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variable region,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 the synchrotron self-absorption (BSSA) and the equipartition magnetic field strength (Beq) were obtained. We found that BSSA is largely consistent with Beq within the uncertainty, implying that the SSA region in the source is not significantly deviated from the equipartition condition in the γ-ray quiescent periods.
투명 렌즈의 color는 투과광의 파장의 감산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착색 물질의 고유 광홉수 스돼트럽을 분석하고 혼합물질의 중량의 제어를 통하여 혼합 color lens를 제 작 할 수 있다. 기 본 color lens 의 광흡수 스펙 트렴 을 500nm, 600nm 파 장 위치를 point로 하여 단순화. 규격화 시줬다. 규격화된 기본 광홉수 스펙트럼으로 부터 6 개의 광흡수 스펙트럽을 설계하여. 이에 대응되는 color lens 의 염색조건을 찾 았다. 혼합색 color lens 의 광홉수의 파장 의존성 기올기 (Abs/l Onm) 개념을 도입하였 고. 가울기의 크기가 색상변화에 콘 영향을 푼다.
In this paper, we present observations of absorption line spectrum of QSO 1225+317 with resolution of 18 km sec-1. Four possible new heavy element line systems are identified. The properties of Lyman α forest lin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