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TEC-BNR공법을 사용하는 하수처리장에서 강수발생시와 같은 저농도 유입수에, 하수처리장의 생슬러지, 분뇨처리수,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액을 산발효하여 생성된 유기산을 외부탄소원으로 투입하였을 때, 비탈질율과 인방출율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산발효액 투입하였을 때 평균 비탈질율은 산발효액의 투입율이 0.5%일 때 215%, 투입율이 1%일 때는 169% 증가하였고, 평균 인방출양은 산발효액의 투입율이 0.5%일 때 46%, 투입율이 1%일 때는 63%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탈질에 이용된 VFA양(12.6∼32.3 mgVFA/mgNO₃-N)과 인방출에 이용된 VFA양(1.7∼2.4 mgVFA/mgPO₄-P)도 계산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하수처리장에서 저농도 유입수에 산발효액을 외부탄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탈질과 인 제거를 최적화하기 위한 산발효액(VFA)의 양을 정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information of Plum tree (192 germplasm) collected in Korea, and to evaluate the organic acid contents and fermentation solution. The organic acid content of fruit was 50.9 ± 6.0 ㎎/g, and which was composed of 55.5% of citric acid, 43.4% of malic acid and 1.1% of oxalic acid, and showed large difference among germplasms. Oxalic acid and malic acid made no differences in organic acid content according to flesh color, whereas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orange color and lowest in whitish green. Malic acid,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fruit weight groups, but oxalic acid content was highest at fruit weight of 5.1 ~ 10.0 g and lowest at more than 20.1 g. The sugar content of fermentation solution of fruit was 55.7 ± 1.6 °Brix and the harvest rate was 116.7 ± 8.7%.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fruit weight, the sugar content (°Brix) and harvest rate of fermentation solution were very low, and there were correlations of r=–0.551** between fruit weight and oxalic acid, r=– 0.767** between malic acid and citric acid, and r=0.834** between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