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ecessions and advertising messages. A content analysis of 1720 television commercials indicated that during the severe economic recession in Greece, advertisers communicated more rational appeals and placed emphasis on creative devices that enhance understanding, learning and recall of message content.
        4,000원
        2.
        199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observe trends over time in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food purchasing, a content analysis of food advertising in Women's Dong-A was conducted with the five-year intervals from 1968 to 1995. Advertisements for food were classified with the types of foods represented, the types of food products sold, and the types of promotional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advertisements for Ingredients &Condiments group; Fats, Sugars & Desserts group; and Beverages group were peaked in the 1970s; advertisements for Protein foods, Dairy products, and Fruits & Vegetables began to increase in early 1980s; and advertisements for Starch & Cereals stabilized over time. 2. The percentages of advertisements for products classified as Fresh, Frozen and Bottled foods increased linearly; and Canned, Dry products (whether ready-to-eat or required reconstitution) decreased. 3. The percentages of promotional statements about General Health Nutrition and Contains specific nutrients were all very high, although they may decrease in recent decade; promotional statements about Minimizes or Eliminates Certain substances increased linearly over time. 4. The advertisements of Consumer-related statement were very high over time. The proportion of statement about Taste was 60.6% of all advertisements.
        4,500원
        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득 및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는 모호성 광고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 광고에 제공되는 메시지의 양을 조절하여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을 구분하였고 이에 대한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 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메시지 제작에 있어서 모호성의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는 광고메시지의 모호성 수준이 높은 경우 이득 메시지에 비해 손실 메시지의 광고태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용자는 동일한 상황의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손실 메시지 상황에서 모호성 수준이 높은 광고는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모호성 광고 제작을 위한 논의를 제안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