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내습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5엽기에 9일간 침수 처리한 후 잎과 배축을 대상으로 횡단면을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 다음과 같다. 1. 엽록소함량, 광합성, 책상조직 수, 엽두께 및 잎 건물중은 습해에 의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풍산나물콩보다 소백나물콩의 감소가 더 많았다. 2. 잎 조직의 책상조직의 치밀함은 습해에 의해 급격히 감소되었고 품종간 차이도 관찰되었으며, 풍산나물콩은 주맥의 통도조직 중 목부의 발달을 볼 수 있었다. 3. 배축의 통기조직 형성은 소백나물콩은 보이지 않았으나 풍산나물콩은 피층에 파생통기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묘기 보리 습해의 주요 원인은 과습에 의한 근권의 산소 부족이다 따라서 혐기조건에 대한 뿌리와 지상부의 생육 및 혐기적 해당발효 효소 활성의 양적 및 질적 반응을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용존산소 1ppm 수준의 혐기조건을 1-7일간 처리한 3엽기 보리 유묘를 재료로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리생육 및 통기조직의 발달은 단기적 혐기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 뿌리의 ADH와 LDH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효소활성 수준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동위효소의 발현 증가에 의해 나타났다. 그러나 지상부의 효소활성과 동위효소 발현 양상은 혐기처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혐기조건 초기에는 산소부족 조건에서 세포의 pH변화를 안정시키면서 혐기적 해당과정을 통한 에너지 획득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할 반응이 우선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결과는 보리의 내습성 정도와 혐기적 해당과정의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한편, 내습성 품종 육성효율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내습성 간편검정법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erenchyma development in rice (Oryza sativa L.) roots is quite important for adaptation to waterlogged or reduced soil conditions. Anatomical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schizogenous and lysigenous aerenchyma in elongating crown roots of rice. The crown roots of 3rd and 4th phytomer were taken from rice plants of the 8th leaf stage grown by hydroponic culture. The schizogenous intercellular spaces in the cortex of crown root tip were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with semi ultra-thin sections and the lysigenous aerenchyma in mature tissue of crown root were observed using a cry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ryo-SEM) with freezing fracture method. The schizogenous intercellular spaces in the root tip exist obviously in the middle portion of cortical cell layers close to the root-root cap junction, but not in root cap, stele and outer cell layers of cortex. The air spaces were formed at the junction of four neighbouring cells of inner cortex in the transverse sections, and between longitudinal cell layer connected along the root axis. Although many of those spaces were filled with liquid, some spaces seem to exist as air spaces. The lysigenous aerenchyma in the cortex, which hardly filled with liquid, emerged at 3-4 cm segment from the root tip and increased toward the basal region of root axis. The developing process of lysigenous aerenchyma was primarily separation of a radial row of cells caused by the shrinking and collapsing of cortical cells and then formation of septa along the radial cell rows by the fusion of cell wall with each o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chizogenous and lysigenous aerenchyma playa role as a passage for the movement of oxygen into the root tip region where oxygen is required for respiration.
        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무 뿌리의 수분 적성 및 생육 단계별 한발피해 정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율무 종자의 발아는 산소가 부족한 혐기조건하에서는 극히 부량하였으나 발아이후에는 해를 받지 않는 작물이었다. 2. 율무 뿌리의 횡단면 세포배열은 세포간극이 큰 직열구조로 되어 있었고 담수하에 놓이면 피층(통기구조) 면적이 점차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3. 담수상태하의 율무는 지주근 및 기근이 상위절에서 많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엽고병 발병이 억제되었고 등숙이 양호하였다. 4. 율무의 생육 단계별 한발피해는 출수기 한발처리에서 가장 피해가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