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llelopathic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n Coronopus didymu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etitive dominant in plant ecosystem and possibility application in natural herbicid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for close to patch of C. didymus was decreased gradually site #1 (7, 1.76), site #2 (5, 1.34) and site #3 (5, 1.25). It was generally decreased the relative germination ratio (r=-0.731, p<0.01), the mean germination time, the relative elongation ratio (r=-571, p<0.01, r=-0.730, p<0.01), the relative fresh weight (r=-0.743, p<0.01), development of root hairs of receptor plants by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extracts from C. didymu. But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growing regions, the kind of receptor plants and the treatment of the aqueous extracts. Especially, it was differently effected among growing regions that inhibited more radicle than shoot by the aqueous extracts concentration of C. didymus. Total phenolic compound in the aqueous extracts of C. didymus analyzed about 23.0±1.1 mg/g. Total phenolic compounds of soil in survey area was increased gradually site #1 (0.072 ± 0.002 mg/g), site #2 (0.082 ± 0.003mg/g) and site #3 (0.092 ± 0.004 mg/g). We think that the aqueous extracts of C. didymu showed allelopathic effects on other plants. Therefore, C. didymu hold the competitive dominant of plant ecosystem in Jeju Island and possibility application of natural herbicide.
        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falfa (Medicago sativa L.)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be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Laboratory and greenhouse experiments through petri-dish and pot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utotoxic effects of alfalfa leaf and soil extracts on the germination or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and to evaluate allelopathic effects of alfalfa leaf residues on alfalfa, barnyard grass, com, eclipta and soybean. Alfalfa seed germination was delayed depending on aqueous extract concentration, with no difference in final germination after 48 hours. Alfalfa root length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s from leaf extracts than was germination or shoot length. Root growth of alfalf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extract concentration of more than 1 g dry tissue/L (g ~textrmL-1 ). Hypocotyl growth, however, was not affected by all the concentrations of leaf extracts. Soil extracts from 4-yr-old alfalfa stand significantly reduced alfalfa root length by 66%, while soil extracts from 0,1, and 3yr-old stand stimulated root length up to 14-32% over the control. Residue incorporation with dry matters of alfalfa leaf at 100 g ~textrmkg-1 reduced seedling length of several crop and weed species, ranging from 53 to 87% inhibition. Addition of nutrient solution into alfalfa leaf extracts alleviated alfalfa autotoxic effect. This result indicates alfalfa leaf and soil extracts or residues could exert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substances into soil environments during and after establishment.
        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자리공 및 겨자무의 잎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내배지상에서 몇가지 작물들과의 allelopathy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국자리공 잎의 methanol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시한 모든 작물의 발아율, 근장, 배축장, 초장, 생체중, 건물중, 유묘의 활력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2. 미국자리공의 autoallelopathy는 고농도(50u l 및 100u l) 첨가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3. 겨자무 잎의 methanol 추출물은 공시한 모든 작물의 초기생장량을 유제시키는 효과는 보였으나, 미국자리공의 잎추출물의 효과보다는 높았다. 4. 겨자무 뿌리의 methanol 추출물 처리는 밀, 미국자리공의 배축장을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시켰으나, 나머지 작물은 증가시켰다. 또한 초장도 밀, 고추, 미국자리공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작물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5. 미국자리공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재출물한 4종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발아율 및 초기생육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다. 6. Ethyl acetate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보다 벼, 보리, 배추의 엽록소 함량을 감소시켰다. 7. Ethyl acetate 분획물 100u l l 첨가시에 배추의 유리 proline의 함량은 31.2배 증가하였으며, 추출물농도가 증가할수록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