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CI 등재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22 No.1 (2014년 3월) 13

Ⅰ. 사회과학편

1.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easure technical efficiencies and scale efficiencies of Korean seed industry by DEA method,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ies by Tobit regression model. Survey data of 50 seed companies nationwide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overall technical efficiency for the surveyed companies in 2012 was 0.44, which is decomposed into pure technical efficiency 0.68 and scale efficiency 0.63. A majority of the seed companies exhibited at least one form of inefficiency except a few companies in optimal scale. It was also shown the most companies were operating in the stage of increasing returns to scale, which implies Korean seed companies are mainly in smaller scale than optimal. Additional results suggest that the Center for Private Seed Companies, which will be established at Gimje in 2015, plays an important role to make domestic seed companies improve their scale efficiency as well as pure technical efficiency by way of enlarging their size and co-using the high technology in the Center.
2.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organized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sold thei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irectly to independent consumers in the past, the general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wholesalers had difficulty in handling these products. However, the ratio of distribution via wholesale channel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s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s expanded. This study is to address vitalization of wholesale distribution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gathering previous statistical data and analysis.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are conducted by utilizing surveys on forwarders, consumer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s a result, the products producers ship are distributed through dealers at producers sites, producers cooperatives, or food process companies, food companies, internet shopping malls,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ies, consumer groups such as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direct outlets at consumers sites, or exports. Among the channels, the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ies and franchised special shops account for 47%, the general supermarkets 15.7%, and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14.6% respectively. By utilizing the research results o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the distribution weight by channel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distribution channels for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wholesale markets, and large scale distribution companies are compa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the level of producers’ and consumers’ satisfaction for them is the lowest since the low selling price for producers and high distribution margins.
3.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villages for rural tourism not only are very crucial as a pull factor that attracts tourists but also can serve as a way out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Experienc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local dishes can revitalize rural tourism and act as attractors that draw tourists to farm villages for tourism consistently.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rural experience tourists’ purcha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reby suggesting marke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villages for rural tourism.
4.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importe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study a consumer survey was administered for randomly selected households residing in capital area. Results show that the more consumers trust a safety of domestic products and a certification system, the less they purchase the imported products. In addition, it is demonstrated that educated consumers are relatively less reluctant to importe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Finally, an improvement of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decrease of pri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aggressive promotion are requir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5.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consumer recognition in relationship of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i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food. Questionnaire survey target was women in 30s and 40s. The local food tour experience is independent variable, intention of action is dependent variable, and consumer recognition is analyzed as mediated variable. As a result, consumer recognition which is mediating variable has two subordinated variables. One is direct affect and the other is indirect affect. Between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us, through tour experience, consumer can have positive recognition of freshness, safety, health, taste, price, job creation and relationship. That affects to the intention of 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learn success case for marketing revitalization, and develop and operate experiencing tour education program to manage customer continuously.

Ⅱ. 자연과학편

6.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토양조건은 배수가 양호한 양토인 안룡통 보통답으로 칼륨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 함량보다 낮은 토양이었다. 유기질비료로 처리구는 질소 표준시비량인 9kg/10a과 비슷한 N-P-K=8.45-4.89-9.24kg/10a를 시용한 반면 관행구는 표준시비량보다 많은 N-P-K=14.5-6.3-10.8kg/10a를 시용하였다. 2. 벼 수확 후 시험구 토양내 미생물상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박테리아와 방선균의 수는 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곰팡이의 수는 관행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가수분해효소 생성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호평벼 처리구에서 키틴분해미생물과 인산분해미생물 분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병해충 발생정도는 전체적으로 처리구에서는 미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관행구에서 특히 호평벼에서 도복과 이삭도열병이, 잎집무늬마름병은 두 품종 공히 심하게 발생하였다. 혹명나방은 온누리에서 발생율이 높았는데 이는 질소 과다 시용으로 판단되었다. 4. 호평벼와 온누리 공히 관행구가 처리구에 비해 간장과 수장은 약간 길고, 주당수수는 많았다. 그러나 잎집무늬마름병 및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도복 등으로 등숙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관행구는 천립중이 낮았으며 수량이 호평벼는 38%, 온누리는 13% 떨어졌다. 5. 병해충인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과 수량과의 관계에서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6. 백미의 품질도 관행구에서 쇄립율의 증가로 완전미 비율은 낮고, 단백질함량이 높아 전반적인 품질 및 윤기치가 낮아졌다.
7.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자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병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omopsi scitri에 의한 유자 검은점무늬병은(Meloanose)과 Elsinoe fawcettii에 의한 유자 더뎅이병(Scab)은 유자나무에서 가장 일반적인 병으로 알려져 있다. 병 발생은 6월 하순경에 피해가 큰 것은 6월 동안의 강우량과 상대습도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병들은 수령이 낮은 유자보다는 수령이 높은 유자에서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유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농가의 관행재배구가 78.3%였으며,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9.1~72.6%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 유자 더뎅이병 시험에서 농가의 관행재배구에 대한 방제효과는 82.6%였으며, 공시자재인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1.1~71.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본 시험결과에서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유자의 검은점무늬병 및 더뎅이병에 대한 방제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8.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9.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닐하우스 내 강제환기가 시금치 노균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비닐하우스에 수직환기팬 및 수평공기순환팬을 각각 설치한 후 밤 동안 환기를 시킨 하우스와 환기팬을 설치하지 않은 하우스에서 시금치를 재배하면서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시금치 생장 정도 및 노균병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하우스 내의 온도변화는 각 하우스 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밤 동안 상대습도는 수직강제환기팬을 설치한 하우스가 팬을 설치하지 않은 하우스보다 9.2% 낮게 유지되었다. 파종 60일 후에 조사한 시금치의 개체 당 생체중은 수직강제환기팬을 설치한 하우스에서는 17.8g으로 환기팬을 설치하지 않은 하우스의 10.1g과 비교하여 7.7g 높았다. 노균병은 환기팬을 설치하지 않은 하우스에서는 파종 후 20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0일 후에는 34.7%의 이병엽률을 보였으나, 수직강제환기처리한 하우스에서는 파종 40일 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60일 후 이병엽률은 4.0%로 매우 낮았다. 야간에 비닐하우스 내 공기를 수직강제환기팬을 이용하여 환기시킨 결과 환기팬을 설치하지 않은 하우스와 비교하여 시금치 수확량은 76.2% 증가되었으며, 노균병 발생은 20일 정도 늦었으며, 88.5% 노균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었다.
10.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Animals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are also essential for manure to be used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Both organic forage and animals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cycle of organic agriculture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n Korea. Summer and winter crops are getting popular in Korea because of their high forage yield and cultivation in double cropping systems. Common cropping system for forage production in Korea is the double cropping system with legume and grass mixture.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the most popular ones of annual summer forage corps because of their high production with low cost in the double cropping systems. In the mixture of forage crops, inter cropping is more suitable in the corn and sorghum cropping system because of high lodging resistance and forage yield, and low weed population.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difficult to preserve as direct-cut silage due to the fact that its high moisture content causes excessive fermentation during ensiling. Corn grain addition to sorghum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quality and reducing production cost. It is recommended that corn grain could be added up to 10% of total amount of silage. And agriculture by-products also can be added at the time of ensiling to minimize losses of effluent and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increasing quality. Agriculture by-products as silage supplements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cost of sorghum silage. Field pre-wilting treatment of forage crops also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of the silage. Wilting sorghum×sudangrass hybrid before ensiling was the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effluent and increasing pH and forage quality more than direct cut silage. Optimum prewilting period of sudangrass silage was 1 or 2 days. In organic fo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enhancement of organic forage sufficiency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friendly and organic livestock. Consequently,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for animal production and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Korea. No forages no cattle concept should be emphasized in organic farming system.
11.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Panax ginseng C. A. Meyer (P. ginseng) is a well-known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tonic herb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 ginseng have been reported by many researchers. Nevertheless, little is known between the mechanism of action and the active compound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proteomic analysis and protein categor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ponents in the adventitious roots of P. ginseng. Whole proteins extracted from the cultured adventitious roots of P. ginseng were separated by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2-DE). Among the 1000 spots which were detected by silver staining, 113 spots were labeled and identifi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Our results showed that 40 proteins were identified among the 113 spots, with a hit ratio of 35.3%. A number of proteins identified on the 2-DE gels (30%; 16 spots) were involved in energy metabolism. These proteomic data will be helpful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P. ginseng.
12.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축의 축사에 깔짚으로 이용되는 톱밥을 수준별(0(CSD0구), 10(CSD10구), 20(CSD20구), 30(CSD30구) 및 40%(CSD40구))로 우분과 혼합한 다음 부숙기간 중의 이화학적 성상 변화가 지렁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vermicomposting을 이용한 가축분의 친환경적 처리에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3주부터 모든 구에서 지렁이의 생존이 가능하였다. 처리구별 탄질비는 톱밥 혼합구가 CSD0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3주차의 탄질비는 23.26~61.05로 나타났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CSD0구에서 가장 높았고, 톱밥의 혼입 비율이 높을수록 pH와 전기전도도는 낮은 경향이었다.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pH와 전기전도도는 각각 7.4~7.7과 0.28~1.17mS/c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분에 다양한 수준의 톱밥을 혼합하여 부숙시켰을 경우 이화학적 성상 변화는 모두 지렁이 생존이 가능한 범위로 나타났으나, 우분의 효율적인 지렁이 퇴비화를 위해서는 톱밥 혼입 비율에 따른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 조사를 위한 시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진다.
13.
2014.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에서는 가축분의 퇴비화에 수분조절제로서 사용되는 bulking agent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톱밥을 수준별(0(SSD0), 10(SSD10), 20(SSD20), 30(SSD30) 및 40%(SSD40))로 돈분과 혼합한 다음 지렁이 먹이로 이용하였을 때, 지렁이 생육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지렁이 분립의 생산량 및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여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질율과 지렁이 생존율은 SSD0구가 각각 10.19와 35.2%이었으나, 톱밥 혼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탄질율은 11.09~16.44로 높아졌으며, 실험기간 동안 지렁이의 생존율은 35.2~100%로 나타났다. 산자수는 SSD40구에서 16.6 마리로 나타났으며, SSD0구 및 톱밥을 30% 이하 첨가구에서는 새끼 지렁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포수와 난포중은 SSD30과 SSD40구가 각각 23.8~59.8개와 256~660mg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렁이 분립생산과 소화량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p<0.05), 분립의 탄질율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져 SSD30과 SSD40구가 다른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중금속 함량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돈분에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톱밥 30~40% 혼합 시에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을 기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