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CI 등재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22 No.2 (2014년 6월) 11

1.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ven though consumers’ concern about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becomes one of the main issues of food consumption in Korea,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about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was not often discussed. We realized that the cafeteria of university is one of the largest consumption points for the chicken mea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ried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of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at the cafeterias of university.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conduct survey analysis about the students' behavior for consumption of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at the cafeterias of university and to measure WTP(Willingness-to-pay) for the food cooked with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The results present that most of students show higher preference of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than food-safety certified chicken meat, and that they can pay 1,329.9 Korean won for food cooked with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2.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od labelling on organic and country-of-origin of tofu.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ree Tofu attributes shows that the country-of-origin is the most important and an organic labelling and price are followed in order. The result is that if two attributes, an organic labelling and the country-of-origin are taken into account, organic soybeans produced in Korea gets the highest value and non-organic soybeans produced in Korea, organic soybeans produced in USA, and others are followed in order. For respondents who have children under 6 years or under 18 years, the importance of an organic labelling increased compared to those whose children do not fall into that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untry of origin, especially domestically produced products, is more importantly recognized than the organic labeling to consumers.
3.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case study surveyed management situat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EFF) producers’ organization and their main activities. Farmers are aging as an average age of 55-year old and producing fruit-bearing vegetables. The EFF did not increase farmer’s income, however, price and income was stabilized more than that of conventional farming because of contract farming. Farm household liabilities are caused by purchasing agricultural machinery, materials and so on. Farmers of EFF have been also cultivating conventional farming, but they don’t plan much conversion intention of conventional farming into EFF owing to lack of differentiated and stable market for their EFF products. And they are guessing that EFF income will increase a little. For increasing of EFF income, they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production cost, produce high quality production, develop processing foods, enlarge contract farming and so on.
4.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re now currently facing serious climate changes such as super typhoon, flood, intense heat, severe cold, super hurricane, drought, desertification, destruction of ecosystem, marine pollution, reduction of food production, destruction of tropical forests, exhaustion of water resources, climate refugees, etc. All of the above mainly derive from greenhouse gas exhaustion. Such harmful consequence might directly affect mankind’s sustainable development. If we keep using resources that emits greenhouse gases, the global temperature will rise about 3.2℃ by year 2050. In case of 3℃ rise in temperature, it will result in abnormal climate which will bring about severe property damage. Moreover, 20~50% of the ecosystem will become extinct. As Korea’s economy increasingly expands, so do our energy consumption rises. And because of the consequences that can be driven by increasing rate of resource use, not just Korea itself, but also the whole world should seriously concern about greenhouse gases. Although agricultural division only takes up about 3.2% of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re taking voluntary actions to gradually reduce CO2 and so does each and every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reduce CO2, introduc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farm house warming is crucial. In other words, implementing wood-pellet boiler and geothermal heat boiler can largly reduce CO2 emission compared to diesel boiler. More importantly, not only wood-pellet and geothermal heat is pollution-free but they also have economic advantages somewhat. In this thesis, the economic advantage and sustainablity will be introduced and proved through comparing practical analysis of surveyed farm house under structure employing wood-pellet boiler and geothermal heat boiler with Agriculture-Economic Statistic of 2012 who uses diesel boiler.
5.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삼, 정향 및 neem 추출물에 대한 항균 · 항충력을 규명하여 벼 친환경 재배포장에서 병해충 방제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추출물에 대한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항균력 실험결과 정향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고삼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는데, 고삼추출물의 300배 희석용액에서도 100%의 살충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정향과 고삼추출물에 각각 목초액(10%)과 유화전착제(10%)를 혼합하여 친환경 벼 재배포장에 살포하고 병해충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정향추출물 처리구의 병해 방제가는 무처리구(100%) 대비 50.8%, 해충 발생은 70.6%를 나타내었고, 고삼추출물 처리구는 무처리(100%) 대비 병해 방제가는 43.1%, 해충 방제가는 79.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삼 및 정향 추출물은 벼 친환경 재배 시 병해는 약 50%, 충해는 약 70%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농자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6.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황토의 식이 첨가에 의한 돼지의 성장 특성과 혈중 조성물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총 153마리의 돼지(1주령 자돈 60마리 및 성돈 93마리)를 공시하였다. 자돈군은 일반사료 식이군, 0.5% 황토 + 일반사료 식이군, 1% 황토 + 일반사료 식이군으로 무작위로 3군으로 재배치하였다. 각 군간 증체량을 비교하였을 때 1% 황토가 포함된 사료를 식이한 군에서 일반사료와 0.5% 황토 + 일반사료 투여군에 비해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혈액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백혈구 수, 총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수, 혈액 중 혈구용적율, 평균 세포용적율, 평균 세포 내 헤모글로빈량, 평균 세포 내 헤모글로빈 농도, 평균 적혈구 폭, 혈소판 수치 등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성돈군은 일반사료 식이군과 1% 황토 + 일반사료 식이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혈청학적 분석에서 혈청 알부민의 농도는 1% 황토 + 일반사료 투여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p<0.01), 다른 지표들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황토가 포함된 사료를 투여한 군에서 획득한 분변의 조지방 함량은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p<0.001), 조단백 함량 및 조회분 함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체의 무게와 등지방 두께의 측정 결과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도체의 등급 판정 결과 황토를 투여한 군의 도체 등급은 비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등급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황토의 식이 첨가는 돼지의 영양소 흡수를 개선시킴으로서 도체의 등급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7.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돈분액비를 활용하여 경종 · 축산 연계를 통한 자원순환농업의 활용 및 녹비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트리티케일 재배지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생육특성과 토양 화학성 변화 및 건물수량성에 대한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초장에서는 LPM처리구에서 115.3cm로 대조구 대비 8.1% 양호하였으며 근장에서는 LPM 처리구에서 3.9cm 길었고 전체길이도 LPM처리구에서 132.3cm로 대조구 대비 9.9% 컸다. 건물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LPM처리구가 전 조사시기에서 높았으며 20% 이상 증가하였다. 대조구의 시험후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18.8g kg-1로 시험전 보다 높았으나, LPM처리구에서는 시험전 토양보다 낮은 14.1g kg-1이었다. 시험후 토양의 치환성 K는 LPM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Ca, Mg 및 Na는 대조구에서 높았으며 시험전 토양에서 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건물체량은 LPM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1.9%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귀화식물인 Solidago altissima, Amaranthus retroflexus, Sida spinosa 등을 이용하여 친환경 농자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에 따른 수용체 식물의 발아 및 유식물 생장과 실험 병원균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공여체식물에 따른 수용성 추출액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대부분 검정식물의 상대발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S. spinosa(r = -0.540, p<0.01), Physalis wrightii(r = -0.693, p< 0.01), A. retroflexus(r = -0.724, p<0.01), S. altissima(r = -0.728, p<0.01), Eclipta prostrata(r = -0.779, p<0.01)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고 평균발아일수도 처리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 되었으며(r=0.769, p<0.01) 공여체식물과 검정식물에 따라 약간의 정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공여체식물의 수용성 추출액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식물의 지상부의 길이(r = -0.587, p<0.01), 지하부의 길이(r = -0.741, p<0.01), 생체량(r = -0.574, p<0.01)과 뿌리털의 발생도 감소하였다. 한편 공여체식물의 수용성추출액 농도 증가에 따른 검정 병원균의 생장은 Botrytis cinerea(r = -0.266, p<0.05), Diaporthe citri(r = -0.323 p<0.01),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r = -0.512, p<0.01), Pythium ultimum(r = -0.581, p<0.01), Rhizoctonia solani(r = -0.806, p<0.01) 순으로 생장이 억제되었다. 제초 및 항균활성을 보이는 수용체식물의 총 페놀 함량은 S. altissima 17.3±0.5mg/g, A. retroflexus 13.1±0.3mg/g, P. wrightii 12.0±0.4mg/g, S. spinosa 9.5±0.1mg/g, E. prostrata 4.1±0.1mg/g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귀화식물인 수용체식물들은 자생식물과의 경쟁을 함에 있어 알레로패시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 화합물 등이 수관 내 토양으로 방출하여 하부식생에 대한 발아 및 생장과 토양미생물 생장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천연제초제 · 살균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9.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들의 식물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4종 65점의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벼(Oryza sativa)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1종 12점의 쑥(Artemisia princeps) 경엽,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전초,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가지와 잎, 갈대(Phragmites communis) 줄기, 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 전초, 싸리(Lespedeza bicolor) 가지와 잎,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전초, 속단(Phlomis umbrosa) 전초,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근경, 감초(G. uralensis) 경엽, 당귀(Angelica gigas) 뿌리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근경 추출물은 벼 유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에 따라 상기 식물 종의 부위들은 식물 생장 촉진용 농가 자가제조 액비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10.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ductivity decrease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is the biggest obstacle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rket.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of fruit vegetables (oriental melon, watermelon, and strawberry). Box-Cox transformation model was used to infer the functional form of productivity chan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iods of productivity restoration to 90% level in oriental melon, strawberry, and watermelon were 14.1 years, 11.4 years, and 6.0 years, respectively. The forms of productivity restoration of fruit vegetables showed differences due to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incidences of crop pests, preference for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period and so on. Because the form and period of productivity restor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kinds of fruit vegetable,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is point of view.
11.
2014.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배 개화기에 염소계 살균제인 NaDCC(sodium dichloroisocyanurate)의 사용에 따른 배검은별무늬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건전한 배나무에 배검은별무늬병원균인 Venturia nashicola의 분생포자를 접종하고 NaDCC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무처리에서 51.6% 발생한 반면에 NaDCC 처리시 750mg/L에서는 23.8%, 1,000mg/L에서는 26.2%로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원황 등 6개 품종을 대상으로 만개기에 NaDCC를 살포하여도 배꽃의 화분발아에는 피해가 없었다. 신고 배 포장에서 개화초기와 만개기로 구분하여 NaDCC를 살포한 결과 개화초기에 NaDCC를 단독 살포 처리시 98% 이상의 높은 수정율을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인 살포시기로 판단되었다. 또한 신고 배 재배포장에서 NaDCC를 배검은별무늬병 방제 적기에 4회를 살포한 결과 NaDCC 750mg/L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발병과율은 0%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