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 시절과 성장기에 주요 양육자로부터 애착 외상을 경험한 남성 마약 류 중독자들의 마약류 중독과정과 회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남성 마약류 중독자들이 경험한 애착 외상과 마약 중독과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역시 손상된 애착의 재구성이 어떠한 맥락에 서 중독에서의 회복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연구참 여자들이 경험한 애착 외상과 마약류 중독과 애착 재구성으로 인한 중독회복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실천 이론을 생성함으로써 중독과 애착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이론적 표집으로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된 남성 9명을 선정 하였고, 1 대 1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rbin과 Strauss(2014)가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3개 의 개념, 19개의 하위 범주,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애착 외상, 마약 중독, 마약 중독에서 회복까지의 조건과 과정, 작용/상호 작용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범주들을 연구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라 각 수준의 관계를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 과, 매트릭스에 배열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참여자들의 마약류 사 용과 중독은 어린 시절 불안정 애착과 애착의 상실로 인한 상처로부터 회피 과정이었 으며,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역시 새로운 대상과 애착을 재구성함으로써 회복의 힘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에서는 숨어 우는 상처 입은 아이의 자기 존재의 부 활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애착 외상과 마약류 중독 그리고 애착의 재구 성과 마약류 중독에서의 회복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교정시설에 수감 된 마약 류 중독자의 회복을 돕기 위한 애착 회복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하였다.
애착(attachment) 이론은 개체 초기 및 보살피는 사람(보통 어머니)의 상호 작용 경험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내부 작업 모드(Internal working mode)를 형성한다. 이는 타인에 대한 일 종의 기대이며 성인의 친밀하고 낭만적인 관계일 뿐만 아니라 우리네 삶의 방식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많은 연구 에 따르면 초기의 부모 자식 간의 애착의 정도는 개인의 성격 과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성인애착은 초기 개 인의 부모 자식 간의 애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성 인의 대인 관계 및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그 리고 연인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의 연구는 불안전한 애착과 함 께 특정 상호 작용 모드와 관련이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지난 50년 동안 애착이론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으 며 일련의 중요한 연구결과를 얻었고 또한 많은 귀중한 이론을 형성하였다. 이 논문은 먼저 성인애착, 특히 J. Bowlby, M. Ainsworth, C. Hazan 및 P. Shaver와 관련된 이론을 정리하였 다. 진일보하여 성인의 애착이 미치는 안정감의 원천에 대하여 탐구하였는데, 이는 왜 한 사람은 안전한 애착을 형성하고 다 른 한 사람은 불안전한 애착을 형성하는가 하는 것이다.
어릴 때의 보살핌 속에서의 활동과 인간관계의 영향이 미치는 세대 간 전달 및 유전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성인애착의 패턴의 세대 간 전달에 대한 이론을 요약하였다. 애착이 세대 간 전달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성인애착과 아동애착의 전달 정도와 성인애착이 세대 간 전달되는 정도 차이
의 현상을 측정하여 요약하였다. 아울러 부모의 민감성과 아동의 감수성 차이의 관점에서 전달의 차이나는 요소를 탐구하고 성인애착에 대한 향후 연구를 위하여 미래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심리학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불교의 애착여읨(이욕; virāga; non-attachment)과 심리학의 애착이론과의 통합적 연구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로써 애착이론과 이욕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어떻게 발전되고 있는지 볼 수 있었고, 또한 이욕에 대한 불교학자들의 다각적인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표면적으로 보기에 연관성이 약한 불교의 이욕과 애착에 관한 개념과 심리학적 애착이론이 긍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불교에서는 대상에 대한 애착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욕; virāga)이 불교 수행의 목적인 해탈과 가까워지는 것인데 반해, 심리학에서는 애착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안정된 애착이 클수록 성숙한 인격체가 됨을 주장한다. 불교와 심리학의 애착에 대한 이러한 개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불교의 이욕은 세계를 초월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진정한 자비를 품는 길이라는 것, 그리고 심리학자들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성인에게 이욕의 심적 구성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봄으로써 불교와 심리학의 융합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의 시도가 생산적인 연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려고 한다. 불교의 이욕과 심리학의 건강한 애착을 연결하려는 시도에서 그러한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적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마음챙김(mindfulness)’과 ‘자비(compassion)’가 있다.
Research Background Electronic word-of-mouth (e-WOM) is becoming an important marketing tools in social media era. Consumes are accustomed to sharing information with others in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such as, Facebook, Twitter, etc. e-WOM is defined as “any positive or negative statement made by potential, actual, or former customers about a product or company, which is made available to a multitude of people and institutions via the Internet” (Hennig-Thurau, Gwinner, Walsh, & Gremler, 2004, p. 39). As referred by Cheung and Thadani (2012), e-WOM adop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ponse variables in e-WOM research. The information adoption model is widely used in prior studies and showed that e-WOM credibility and information usefulnes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WOM adoption (Cheung, Luo, Sia, & Chen, 2009; Liu & Zhang, 2010). e-WOM credibility is related to the communicator’s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information usefulness is related to the contents-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positive or negative view and volume, etc.). Moreover, receiver’s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to the product/service are proved to have a moderate effect on the e-WOM adoption (Doh & Hwang, 2009; Park & Kim, 2009). Existing e-WOM adoption researches are overly depend on information adoption model and only focusing on the communicator and contents role but neglect the receiver’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eiver’s attachment styles and e-WOM adoption response. We assumed that receiver’s psychology characteristics will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ir e-WOM adoption in SNSs, it is the precondition for consider the communicator and content. Thus, attachment theory i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what kind of individuals will adopt the e-WOM information in SNSs. Relevant Theory Attachment theory is used in this study. Attachment theory attempts to explain the affectionate bonds formed between infants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Bowlby, 1969) and transfers to 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ater in life (Ainswworth, Blehar, Waters, & Wall, 1978). The early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caregivers can help a child develop an internal working model, which can guide the child’s thoughts, behaviors, and affect other relationships (Weimer, Kerns, & Oldenburg, 2004). These relationships not only include romantic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Bowlby, 1969) but also include the attachment to possessions, brands, sports teams, and business partners (Grinstein & Nisan, 2009; Kleine, Kleine III, & Allen, 1995). Attachment styles can be formed from two dimensions: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Brennan, Clark, & Shaver, 1998). The avoidance dimension refers to the degree that an individual’s view of others is positive or negative, whereas the anxiety dimension refers to the degree that an individual’s view of self is positive or negative. Avoidance dimension is related to the degree that individuals have a need for self-reliance, fear depending on others, distrust partners, and tend to keep emotional and cognitive distance away from partners (Brennan et al., 1998; Collins & Read,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