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의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이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향상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기계적 자극과 염 스트레스에 대한 오이묘의 반응을 조 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오이 종자는 상업적 공정육묘상토가 충진된 40구 트레이에 파종하였고 파종 후 29일부터 아크릴 필름을 이용하여 브러싱 처리를 2시간 간격으로 진행하였다. 브러싱 자극 7일 후 NaCl 용액을 이용하여 50, 100, 150, 200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NaCl 처리 9일 후 오이묘의 생 육과 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그리고 지상부의 생체중이 감소 하였으며, SPAD 값은 NaCl의 농도와 관계없이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근장과 뿌리 부피 가 감소하였지만, 브러싱 처리구에서는 총 근장과 뿌리 부피 가 증가하여 NaCl의 처리에 대한 영향을 완화 시켰다. MDA 와 H2O2 농도는 NaCl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브러싱 처 리로 인해서도 높은 MDA와 H2O2 함량이 나타났다. 결론적 으로 기계적 스트레스와 염분 스트레스가 모두 스트레스 반응 을 일으켰으며, 기계적 자극이 염 스트레스로 인한 뿌리 생장 억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기계적 자 극의 처리 강도 조절을 통한 스트레스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여진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baby leaf vegetable, specifically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The effect of mechanical brushing during cultiv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was determined in terms of the quality changes in weight loss, gas partial pressure, leaf color, and appearance during storage using a 30-㎛-thick polypropylene film at 16℃. The brushing treatment included brushing with A4 paper back and forth 50 times a da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growths on the brushing-treated plant group were less than those on the control group. The structure of the leaf tissue of the brushing-treated plant also tended to be less compact than that of the non-treated plant. The brushing treatment resulted in less growth and denser plant tissues as well as in differences in the gas O2 consumption and CO2 accumulation after packaging. For the gas partial pressure, the O2 consumption and CO2 accumulation of the brushing-treated plant tended to be less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plant. There were no differences, however, between the brushing-treated plant and control groups in the SPAD value and appearance.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fter packaging, the effects of the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the quality of the tah tasai Chinese cabbage baby leaf vegetable was not significant. As such, it is recommended that effective post-harvest methods of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of the baby leaf vegetable be further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