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弟子規』는 기초한자 교육 및 인성교육을 위한 童蒙書다. 그 중에서도 한자 학습보다는 윤 리도덕교육에 더 큰 목적을 둔 책이라 할 수 있다. 책은 “總敍”를 포함하여 총 여덟 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제는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長者에 대한 공경, 둘째는 사회생활과 처세의 방법, 셋째는 배움과 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대부분 孔子를 대표로 하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기본 도리와 처세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고 있다. 내용 중에는 21세기 현실생활과는 다소 부합되지 않는 낡은 사상과 행동지침이 포함되 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전통문화 창달과 인성교육에 유익한 교재라고 판단한 중국 교육계에서는 현재 『弟子規』 閱讀과 교육을 활발하게 전개시키고 있다. 중국 의 ‘國學’ 열기와 함께 인성교재의 핵심으로 활용하고 있는 『弟子規』는 개인주의와 황금만능 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의 아동들에게 전통문화를 이해시키고 바람직한 가치관과 인간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우리나라에 서 『四字小學』 등과 같은 교재로 한자 및 인성교육을 시키는데 있어서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value of integrated use of the related literary texts and movies through teachers' awareness toward them, and to develop English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m. Thirty-four primary school teachers who enrolled a graduate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eachers read a literary text, Because of Winn-Dixie written by Kate DiCamillo, and watched the movie based on the text.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a mixed method which us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chniques. The result of the study emerged in two steps. First,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understanding literary texts and movies, participants' experience as both English learners and teachers, and the understanding of complementary aspects of a literary text and the movie based on the text. Then,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nglish learners were developed. For example, the study suggested how to develop four language skills through integrated use of the literary texts and movies, and provided a list of related literary texts and movies applicable in diverse EFL contex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eachers to apply methods and techniques to other literary texts and movies in the teaching of English in EFL settings.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학습코칭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학습코칭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실행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현재 학습코칭 프로그램은 대부분 자기주도 학습의 세 영역인 동기영역, 인지영역, 행동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습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방향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성격, 학습태도 등 아동의 특성을 적용한 학습코칭프로그램과 코칭 모델과 코칭기술을 적용한 학습코칭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우수아, 학습정상아, 학습부진아 등 학습자의 학습능력수준에 따른 학습코칭 프로그램과 학년, 성별 등에 따른 프로그램 또는 다문화, 새터민 등이나 특정한 장애를 지닌 집단 등에 따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자신감, 내재적 동기와 자기이해, 꿈과 목표설정에 탁월한 NLP기법을 학습코칭프로그램에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자율선택학습 환경인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에 대해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 개념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들 13쌍의 자연사박물관 관람을 녹화하여 영상물과 전사본을 바탕으로 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대화를 근접발달영역 발달수준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들이 자신이 이미 도달해 있는 수준 내에서 대화를 나누는 실제적 발달수준 내의 대화가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대화 사례를 세 가지 근접발달영역 체계화 요소를 토대로 해석한 결과 아동들은 언어 기호를 매개로 상호작용을 하여 상호주관성을 형성하고 동일한 상황정의를 이루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적으로 유의미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연구 참여쌍의 사례를 통해 아동들의 대화 내용을 과학 개념 측면에서 보다 자세히 들여다본 결과 아동들이 자신의 기존 지식과 연결짓거나 확장하고 정교화 하는 등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아동들의 학습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that focused on physical education had any effect on increasing school children's satisfaction level with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ree subareas were selected after r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기초로 유아에게 적절한 전래동화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단계의 창의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2개 학급 만 4,5 세 유아 33명을 선정하여 8주간 주 5회씩 총 40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들려주기만 한 통제집단 간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과 언어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유아들에게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래동화에 대한 다각적 연구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함께 학습하는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만 5세 유아로 실험집단 23명(장기결석 및 전학 유아 제외)과 통제집단 29명으로 하여 8주간 15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함께 학습하는 수학활동을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수학활동을 자유선택활동의 수조작놀이 영역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함께 학습하는 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분류, 패턴, 수, 측정, 도형 문제해결능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영천시 야사동 야사종합복지관 내 공부방을 이용하고 있는 빈곤결손가정 아동 9명으로 200년 3월2일부터 2005년 7월 27일까지 주 1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전체의 자아개념 검사지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사회적 자아와 정서적 자아가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학습능력 검사 결과 학습활동 영역에서 기억력과 집중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학습능력 영역에서는 추리력과 수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문장완성 검사 결과 자아개념 검사에서 볼 수 없었던 학업에 대한 자신감과 또래 친구와의 관개개선을 문장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