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된 관상용 부추속 종과 야생 부추속 종을 교배하고 새로운 품종을 얻기 위해서는 한국에 자생하는 부추속 종의 개화생리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장처리를 통해 자생 부추속 4종의 화아발달 및 생육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Phyto-Garden System에서 실시되었으며, 온도는 25℃, 습도는 70%로 유지 되었다. 꽃눈이 각 1개씩 출현한 개체를 이용하여, 2019년 6월 28일에 장일(LD, 16hours), 단일(SD, 9hours), 외부환경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LD와 SD처리에서 8:00~17:00(9h)까지 는 296±13μmol・m-2 ・s-1의 광도 하에서 실험하였다. 이후의 추가되는 시간은 형광등을 이용해 약 5μmol・m-2 ・s-1로 일장연장 (day extension, DE)처리를 하였다. 생육조사는 생장특성으로 초장, 초폭, 엽수, 엽장을, 개화특성으로는 꽃의 수와 개화소 요일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한라부추의 단일처리에서 엽수를 제외한 초장, 초폭, 엽장, 엽폭이 장일처리 및 외부환경 보다 높게 측정되어, 4종의 부추속 식물 중 한라부추가 추대 이후 단일처리에서 가장 생장이 왕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단일처리에서 개화소요일수는 각각 강부추 51.8일, 둥근 산부추 46.5일, 선부추 43.7일 그리고, 한라부추 52일로 나타 났다. 반면 장일처리의 개체들은 실험종료일까지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외부 환경조건에서는 부추속 4종이 평균적으로 97.2일째에 개화하였다. 본 실험은 자생 부추속 4종이 단일처리에서 외부환경보다 화아발달이 촉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
        3.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duce fermented soy-powder milk (FSP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and to evaluate its anti-obesity activity. Isoflavon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f unfermented soy-powder milk (UFSPM) and FSPM and were analyzed via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GC).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were assayed. Their anti-obesity activitie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ir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and the expression of mRNAs associated with adipogenesis and lipid metabolism were analyzed via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quantitative PCR (qPCR). FSPM with L. plantarum P1201 increased the isoflavone aglycones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content and produced CLA in soy-powder milk (SPM), both of which possessed bio-activity. Both UFSPM and FSPM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for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FSPM, but not UFSPM, suppresse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reduced their triglyceride content by 23.1% after treatment with 1,000 μg/mL of FSP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can be attributed to CLA and isoflavone aglycones, which target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down-regulated lipoprotein lipase (LPL), adiponectin,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etyl CoA carboxylase (ACC) mRNA. Furthermore, FSPM enhanc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glucosidase and pancreatic enzymes and anti-obesity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persists in an in vivo mous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