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보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한 노년층 정보 불평등을 야기시키는 디지털 격 차에 대한 해소방안, 특히 미디어 소외 계층으로 노년층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이슈에 집중하여 노년층에서 발생되고 있는 스마트 미디어 사용과 관 련한 디지털 격차의 유형과 발생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년층 스마트 미디어 디지 털 격차의 유형은 ‘접근격차’, ‘이용격차’ 및 ‘활용격차’로 분류되어졌다. 노년층이 스마트 미 디어 사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접근, 이용, 활용 등 3가지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한 결과, 첫째, 접근격차에는 소득, 학력, 신체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가 영향력을 가지 고 있었다. 즉, 접근격차의 경우 경제력과 학력이 노년층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추가적으로 신체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가 높은 노년층이 스마트 미디어 접근이 수 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이용격차의 경우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변인은 연령, 지 역, 학력, 신체적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만족도로 나타났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 을수록 스마트 미디어 기본적 이용에 익숙하였으며 중소도시의 노년층이 이용에 덜 불편함 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용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학력, 사 회적 만족도로 나타났고, 남성이며 연령이 낮고 고학력의 노년층이 스마트 미디어의 응용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정보 기술의 발달과 GIS 논의 발전과 함께,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생성과 공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생성되는 트윗 데이터는 기존의 지리 정보와는 다르며, 이를 보완,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트윗 데이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리학 분야에서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실증적 분석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트윗 데이터에 대한 논의를 정보 격차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트윗 데이터의 공간 패턴, 시간적 시각화, 사회-인구변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미국 킹 카운티를 사례로 한 연구 결과, 트윗 데이터가 공간 및 시간 측면의 집중적으로 분포함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도시-농촌 간 정보 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을 탐지하였다. 또한 트윗 데이터의 분포는 사회 인구 변수와의 회귀 분석 결과, 젊은 층 인구, 소득 변수 등과 일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3.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diffusion of mobile services appears to be occurring much more rapidly than the spread of wired services, there are risks of a new type of digital divide: the mobile divide. The mobile divide, which refers to a specific digital divide that involves the unbalanced diffusion of mobile technologies, must be concretely studied.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mobile divide with respect to disadvantaged popula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diffusion of mobile devices may reduce the digital divide, somestudies argue against the positive effect of mobile devices in addressing traditional digital devices. Low and O’Connell (2006) insisted that equity of access to mobile technolog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of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they argued that there may be socio-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mobile devices and the mobile Internet that are similar to the socio- 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stationary computers and the stationary use of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smartphone divide, this study suggests that emphasizing utilization is an appropriate manner in which to bridge the mobile divide rather than focusing on other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and capability, thatprevious studies have used to measure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4,000원
        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as cheap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are beginning to be freely distributed in Korea, the government has taken a greater interest in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iculture.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resented plans to advance the interests of ‘small but strong farmers’ and secure their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the agricultural conditions in Korea.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that it will focus on leading these efforts in rural areas. The main thrust of this plan to support ‘small but strong farmers’ focuses onutilizing advanced peripheral technologies such as IT and BT;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s currentlyoperating across the nation, and these are mainly in the IT-related divisions of th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used the responses from a survey of farmers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in informatization levels and the digital divide among ‘small but strong farm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mall but strong farmers’ in regions with an active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 received more IT services and had a higher level of informatization. Thus, to increase the use of IT-related peripheral technology by these ‘small but strong farmer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or increase the number of Information Management Division centers.
        6,100원
        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정보화 수준 및 정보격차 현황의 파악 분석과 정보통신기기 수요조사를 통해,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제시와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개발 및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정보격차 실태 및 현황 파악을 위해서, 장애여부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 보유 및 접근성, 사용능력(역량), 활용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여부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 보유 및 접근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510*). 본 연구의 수요조사 결과, 정보통신 보조기기는 전체 응답자 중 약 28% 정도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수의 응답자들이 보조기기의 사용이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답하였다(67%). 정부나 관련기관으로부터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 중 36%로 나타났으며, 기기의 성능 측면에서도 대체로 만족스러웠다는 의견이 전체의 응답의 약 46%로 나타났다. 한편 기능조작 및 사용법 측면에서는 쉽고 편리다고 응답한 경우가 사용 경험자 전체의 36%에 불과했는데,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는 보조기기 조작의 어려움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밖에 정보통신 보조기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사항은 기기 성능의 안정화, 크기의 소형화, 버튼의 간소화, 무게의 경량화 등이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이용 실태 및 수요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정보화기기 이용 시 보조기기가 필요한 장애인을 위한 보급정책 수립과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도 활용됨으로써 정책 실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4,900원
        6.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chan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s resulted in a new gap, a digital divide between countries that can easily access ICT and digital information, and countries that lack accessibility of emer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Realizing the gap of digital divide through education, Korea launched a collaborative program called ‘APEC Cyber Education Network (ACEN)’ in 2001, targetting two economies: Indonesia and Thailand. This program provided workshops via ACEN Internet Volunteers (AIV) for training of the teachers’ capacity for economies’ beneficiary in the education of ICT. In 2003, this program has evolved into APEC Learning Community Builders (ALCoB) Internet Volunteers (AIV) program, and has continued until 2008. In this paper, we report our 8 years of experiences in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Indonesia through volunteers, and show the implications of a successful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t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between countries.
        4,600원
        8.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at individual level and regional level in Korea, considering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the regional variables.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individual level digital devide in the 16 different regions has been found in terms of Internet use, implying the needs for further analysis on impact of the regional factor in individual Internet use. Second, the result finds the impact of level-l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and jobs" on digital divide, significantly at level 10% level. Third, the regional variables influencing the individual digital divide were not found at state level. However, regional factors might affect digital devide at county level. Study suggest some plans to reduce digital divide. First, the digital devide at individual level should be remedied by focusing on neglected class of people. Second, we need to approach the digital divide by analyzing in more detail, reflecting interactions of the regional variables and individual variables. Third, we should come up with a policy for mending the digital divide at reg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