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gypsum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DMY), mineral content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eokmun,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which is reclaimed with approximately 70 cm depth of degraded island soil.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with no gypsum application (G0), 2 ton ha-1 (G2), and 4 ton ha-1 (G4) of gypsum application. The first harvest was carried out when the alfalfa reached 10% flowering, and subsequent harvests were conducted at 35-day intervals. Over the three-year experimental periods (2019-2021), the total DMY of G2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0 and G4 (p<0.05). Although both G2 and G4 gypsum application treatments lowered soil pH, the G4 treatment increas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content of the soil. Additionally, gypsum application affected the mineral contents of alfalfa, resulting in reduced concentration of sodium (Na) and Magnesium (Mg).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gypsum application rate of 2 ton ha-1 is optimal for improving alfalfa dry matter yield and mineral balance, as well as enhancing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 액비의 건물수준을 달리하여 동계작물에 시용 했을시 사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려고 수행되었다. 처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에 무비구(TO), 화학비료구(T1) 그리고 2개 건물수준을 가진 돈분 액비구(DM 2.7 %=T2, DM 5.9%=T3)를 분할구배치법으로 하였다. 5.9%의 건물이 함유된 돈분 액비의 시용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세 작물 모두에서 가장 높은 건
콩의 건물축적과 단백질전류에 대한 Source-Sink변경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실험농장에서 황금콩을 공시품종으로 착협시기(R3)에 상위 40%, 하위 60%의 엽과 협을 제거하여 건물중 및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하위 엽과 경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상위 종실과 협 건물중은 감소하였다. 2. 엽의 단백질함량은 상위 엽보다 하위 엽에서 높았다. 3.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처리에서 낮았다. 4.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엽의 단백질함량은 가장 높았고 종실 단백질함량은 가장 낮았다. 5. 본 실험의 결과에서 콩의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나 생식생장기간중의 장거리 전류를 위한 엽 단백질의 재이동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