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의 수확후 저장온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저장온도에 따른 생체중, 색상차, 엽록소 함량, 수분함량, 외관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생체중은 저장온도에 따라 8.7-25.3%의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감소율도 높았다. 계통에 따른 생체중 감소는 포항지방종이 가장 컷으며, 완주 지방종의 변화가 비교적 적었다. 외관상 품질은 20℃에서 4일경, 10℃에서 6일경, 5℃에서 8일경부터 하위 잎에 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SPAD 값으로 비교한 엽록소 함량은 20℃와 10℃에서는 4일과 6일 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5℃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잎의 색도 변화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녹색-적색을 나타내는 a값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일 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저장 후 10일째에 변색이나 부패한 돌나물의 비율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는 수확시의 수분함량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계통간에는 완주 지방종이 비교적 저장성이 높았으며, 군산, 완도, 포항 순으로 부패율이 높았다. 따라서 돌나물을 스치로폼 접시에 랩포장 할 경우, 5℃에서는 수확 후 8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한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였다.
Shoot-fresh-weight (SFW) is one of the parameters, used to estimate the total plant biomass yield in soybean. Understanding the genetic and molecular basis of SFW could help increase the total biomass production. In this particular study, we identified QTLs associated with SFW in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 population derived from interspecific cross of PI483463 and Hutcheson. A total of 551 (535 SNP and 16 SSR) markers,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between the parental lines and were used to screen the RILs to develop the genetic map. Linkage analysis and QTL mapping were performed using with the software QTL IciMapping version 4.0, with the minimum LOD score of 3.0 and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a QTL and its corresponding effects at every 1cM. QTLs with LOD value > threshold LOD, as determined by 1000 permutation tests at p > 0.05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QTLs. The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5 QTLs associated with shoot fresh weight over two environments, with the phenotypic variation (PV) ranging from 6.34 to 21.32%, and the additive effect from -0.54 to 0.33. Among these QTLs, qFW1314_19_1 had the largest LOD scores, with PV of 21.32%. Interestingly, three QTLs, qFW2013_19_1, qFW2014_19_1, and qFW1314_19_1 identified on chromosome 19(L), showed negative additive effects, indicating the contribution from the wild parent PI483463. The QTL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the targets to identify the candidate genes for the SFW and can help in developing cultivars with increased biomass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