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 ‘My heart’의 기내증식과 기외이식 후 생장에 있어서 배양용기에 부착한 미세공극 Filter 처리가 건전한 유묘를 생 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미세공극 Filter는 환기구 크기별로 White filter type (50.0 mm×3.5 mm)과 Green filter type (50.0 mm×7.0 mm) 으로 구분하여 밀폐 처리와 비교하였다. Shoot tip 배양에 있어서 Green filter type에서 shoot 분화율이 75%로 White filter type 77% 와 밀폐처리 80% 보다 낮았지만 투명화 shoot 발생율은 4% 로 White filter type 13.4%, 밀폐처리 24.7%에 비하여 9.4- 20.7%가 적었다. 전체 배양묘의 54.9%가 투명화 발생이 되 었을 때 Green filter type으로 90일 동안 계대 배양하고 조사 한 결과 투명화율은 11.8%로 감소하였고 분화한 shoot 수는 89개에서 915개로 증가하였다. Filter type에 따라 IBA 2.0 mg·L-1를 첨가하여 30일 동안 배양을 하였을 때 Green filter type에서 기내 발근율 100%, 뿌리 수 7.3개, 엽수 10.0개로 White filter type과 밀폐 처리보다 좋았다. 기외 이식하고 15 일 후의 유묘 생존율도 Green filter type에서 100%로 다른 처 리에 비하여 1.5-29.5% 더 높았고 초장이 11.0cm, 생체중이 1.7g 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미세공극 Green filter 처리는 포 도 ‘My heart’의 기내배양에서 shoot 투명화를 감소시키고 shoot와 뿌리 생성을 촉진시키고 기외이식 후 생장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어 건전한 유묘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seven species, Acosmeryx nega, Herpetogramma luctuosalis, Ostrinia furnacalis, Endoclyta excrescens, Spodoptera litura, Paranthrene regalis, and Nippoptilia vitis, have been known as lepidopteran grape pests in Korea (Woo, 1980; Lee, 1981; Kim, 1991; NIAST, 2002; Korea grape community, 2009). We discovered thirteen additional species belonging to eight families from Gwangwon and Chungbuk provinces, Korea. Additionally, we corrected the previous records of Deuterocopus albipunctatus and Nppoptilia vitis. They were identified by adult external or genitalic characters first, and also confirmed by the COI marker, compared with two public databases, NCBI and BOLD.
        3.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DE 방법으로 추출한 블랙올림피아, 캠벨, 델라웨어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각각 77종, 72종, 7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동정하였다. 블랙올림피아의 주요향기성분으로 (E)-2-hexenal(20.36%), diethylacetal(18.03%), hexanal, ethyl acetate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캠벨에서는 에스터류로써 30.81%를 나타낸 eth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ethyl (E,E)-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