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3.
        202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체 원전에서 총 폐기물의 약 70~80%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콘크리트 폐기물은 해체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해체 시 발생된 콘크리트 폐기물은 핵종별 농도에 따라 규제해제 폐기물과 방사성폐기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성 콘크리 트 폐기물의 처분 비용을 저감하기 위하여 자체 처분 및 제한적 재활용을 위한 제염 작업의 수행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폐기물의 효율적인 제염 작업을 위해 내부 방사능 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원전 해체 시,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기물의 내부 방사능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컴프턴 영상 재구성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다양한 컴프턴 영상 재구성 방법으로 단순 역투사(SBP), 필터 후 역투사(FBP), 최대우도 기댓값 최대화 방법(MLEM), 그리고 기존 의 MLEM의 시스템 반응 함수에 에너지 정보가 결합되어 확률적으로 계산하는 최대우도 기댓값 최대화 방법(E-MLEM)이 사용되었다. 재구성된 영상을 획득한 후,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재구성된 영상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및 평가하였다. MLEM 및 E-MLEM 영상 재구성 방법은 각각 재구성된 영상에서 높은 이미지 분해능과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하는데 있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원자력 시설 해체 시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내부 방사능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프턴 영상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4.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women’s clothing the shoulders are distorted and exaggerated. Consequently, the wearers’ bodies are transform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modern standards. We therefore refer to this aspect of women’s clothing as the power should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ensibility images on variations in the shoulder shape of power shoulder jackets. Nine samples were examined that involved combinations of three variations of the shoulder height and three variations of the shoulder width. The data was evaluated by 123 fashion design majors. Four factors were selected: attractiveness, personality, activity, and self-respect. Among these factors, attractiveness is the most importa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hanges in shoulder height acted as a major effect tha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all four factors. In contrast, changes in shoulder width acted as a major effect tha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attractiveness, personality, and activity but not on self-respect. It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ttractiveness, personality, activity, and self-respect.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help individual customers select clothing that is suitable for their preference and body shape because it is now possible for them to estimate images of power shoulder jackets.
        4,000원
        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body compensation image on variations in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of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Nine samples were examined: 3 variations of the shoulder height and 3 variations of the shoulder width. The data was evaluated by 123 fashion design maj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dy compensation ima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of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five factors were selected; the shoulder compensation factor, the bust compensation factor, the waist compensation factor, the arm compensation factor and the neck compensation factor. Among these factors, the shoulder compensation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Examining the major effect of the body compensation image based on changes in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of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i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factors about waist, neck, shoulder and arm compensation except a factor about bust compensation, had an influence on interacting effect of factors about shoulder, bust, waist, arm compensation, and it had no influence on interacting effect of a factor about neck compensation. This shows that the shoulder height has larger effect on neck compensation image than the shoulder width in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4,000원
        6.
        2012.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a 1.1mm emission map of the OMC1 region observed with AzTEC, a new large-format array composed of 144 silicon-nitride micromesh bolometers, that was in use at the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 (JCMT). These AzTEC observations reveal dozens of cloud cores and a tail of filaments in a manner that is almost identical to the submillimeter continuum emission of the entire OMC1 region at 450 and 850 μm. We perform Fourier analysis of the image with a modified periodogram and the density power spectrum, which provides the distribution of the length scale of the structures, is determined. The expected value of the periodogram converges to the resulting power spectrum in the mean squared sense. The present analysis reveals that the power spectrum steepens at relatively smaller scales. At larger scales, the spectrum flattens and the power law becomes shallower. The power spectra of the 1.1mm emission show clear deviations from a single power law. We find that at least three components of power law might be fitted to the calculated power spectrum of the 1.1mm emission. The slope of the best fit power law, γ≈−2.7 is similar to those values found in numerical simulations. The effects of beam size and the noise spectrum on the shape and slope of the power spectrum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analysis. The slope of the power law changes significantly at higher spatial frequency as the beam size increases.
        4,000원
        8.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자력발전소에 지진격리장치를 설치하면 지진에 의한 하중을 지진격리장치가 담당하면서 설치 전보다 큰 변위가 발생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변위증가에 따라 일부 설비의 지진리스크가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지진격리된 구조물과 일반 구조물을 연결하는 설비인 배관 시스템의 경우 지진리스크가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배관 시스템의 취약부위인 강재 배관 Tee의 한계상태를 누수로 정의하고 면내반복가력시험을 수행하였다. 강재 배관 Tee의 모멘트와 변형각은 기존의 센서를 이용한 계측이 어려우므로 이미지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인치 강재 배관 Tee의 모멘트와 변형각의 관계를 이용한 누수 선도 및 저주기 피로 곡선들을 제시하였다.
        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 우리는 순간적으로 무차별 생성되는 가공된 이미지 정보들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 이미 오래 전부터 사회는 이미지 사회로 이동했다. 상업적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끌려는 시도는 지속적으로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비자는 그렇게 시도된 이미지에 자연스럽게 굴복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중매체의 가공된 이미지 권력에 대한 수용과 사고와 행동방식을 살펴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가공된 이미지가 원형 그 자체보다 더 품위를 지니는 세계의 공간에 익숙해져 있다. 제품과 소비자를 매개하는 이미지는 이제 단순한 매개체가 아니다. 이미지들은 일방적인 권력적 성향을 가질 수밖에 없다. 가공된 이미지의 대중매체 속성과 이념과 성향이 소비자를 지배한다. 이미지가 소비자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소비자가 이미지를 따라간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제공된 이미지에 대한 사고능력이 저하되고 현실과 비현실을 구별하지 못하게 된다. 매끄러움, 상큼 함, 깔끔함의 ‘과잉자극’이 없는 세상이 가능할까? 우리는 이미 너무나 많은 자극적으로 가공된 이미지와 많은 시간을 같이 하면서 살 수밖에 없다. 이제 현대인들은 가공된 이미지와 서로 비춰 보는 거울의 역할을 하면서 가공된 이미지와 사랑에 빠져 있음을 알 수 있다.